인간은 언제나 딜레마에 처한다. 이 영화의 주인공인 '철우'도 마찬가지이다.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휴전선 인근에서 어부 생활을 해야 하고,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고장난 배를 과감히 버리지 못한다(보잘 것 없는 통통배이지만, 그것이 그에게는 전재산이고, 그것 하나 마련하는데 십 년이 걸렸다고 한다).
남북의 국가는 이 딜레마에 처한 인간을,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법을 위반할 수밖에 없었던 인간을, 너그럽게 용서하기는커녕 철저히 파괴해 버린다. 영화이기 때문에 과장된 측면이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볼 수도 있지만, 이 영화에 앞서 본 [자백]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생각해 볼 때 - 국정원에서 취조를 받고 고문을 당하는 장면, 또 '탈북자'를 간첩으로 몰아 자살에 이르게 하고 마는 장면 등은 두 영화가 상당히 유사한 면을 보인다 - 그렇게만 볼 수는 없다.
북한 사회는 체험을 해보지 않아서 잘 실감이 안 나고 또 잘 모르지만, 그럼에도 뭔가 어색한 느낌을 지울 수는 없다. 김기덕으로서도 어쩔 수 없는 노릇이겠지만 북한 사회나 "국가 안전 보위부"의 모습은 탈북자들의 숱한 증언에도 불구하고 잘 와닿지 않는다. ([연평해전]이라는 영화에서 거의 발언권을 갖지 못한 북한군이 이상하고 어색하게 여겨지던 것 정도는 아니지만.)
몇 년 전에 본 김기덕의 [피에타]나 [뫼비우스] 등과 이 작품을 비교해 볼 때, 그 내용이 우리에게 던져주는 충격파는 덜 할 수 있지만, 우리 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인 분단의 문제를, 남북의 정보 기관인 '국정원'과 '국가안전보위부'를 환유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우리에게 경종을 울린다.
국가란 도대체 무엇인가? 우리를 옭재고 있는 이 '보이지 않는 강철 그물' - 이건 아는 시인이 쓴 말인데 - 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는커녕 갉아먹고 있는 것은 아닌가? 남북의 권력이 남북의 대치 * 긴장 등을 이용하여 그 안에서 살아가는 국민의 삶을 억압하는 측면.
철우는 스스로 죽음을 택함으로써 이 거대한 권력에 항거한다. 국가가 우리를 감시하고 억압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국민 역시도 국가를 끊임없이 감시하고 권력이 비대해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국가 권력의 비정상적인 비대화는 두 말할 필요도 없이 북한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다.
'영화 그밖의영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바웃 레이(Three Generations) - 동대문 메가 박스. 혼자. 161126 (0) | 2016.11.28 |
---|---|
닥터 스트레인지 - 스콧 데릭슨(Scott Derrickson) [혼자 - 왕십리 CGV, 161113, 14] (0) | 2016.11.15 |
고스트 버스터즈 - 폴 페이그 [VOD - 161007] (0) | 2016.11.15 |
럭키 - 이계벽 (CGV 미아, 혼자)(161023) (0) | 2016.10.24 |
자백 - 최승호 (센트럴시티 메가 박스, 혼자) [161016] (0) | 2016.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