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으로/언어철학

기표와 기의의 관계 - 시니피앙 논리와 상징계, 김석 [프로이트 & 라캉 - 무의식에로의 초대]

by 길철현 2017. 1. 31.

 

 

 

[인간의 언어관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은 소쉬르의 독창적인 사고 때문이다. 언어가 실제 대상을 지칭하는 것 - 아직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이라는 생각에서, 언어는 언어 자체의 논리, 즉 구조에 의해 움직여 나간다는 것, 또 언어라는 것이 기표(시니피앙)와 기의(시니피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기호라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 것도 그였다. 그의 강의를 정리한 [일반언어학 강의]는 이러한 그의 생각을 담고 있는 지루하고 난해하지만 중요한 책이다.

 

(여기서 나의 이야기는 또 옆길로 샌다. 소쉬르와 프로이트는 동시대의 인물인데, 두 사람이 직접적으로 만나거나 교류를 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최용호에 따르면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둘째 아들인 레이몽 드 소쉬르가 [정신분석학 방법]이라는 박사학위논문을 발표하였는데, 프로이트가 이 논문을 감수하였고, 레이몽은 이 논문에서 아버지의 [일반언어학 강의]를 한 차례 인용하였다는 것이다. 프로이트가 이 논문을 꼼꼼하게 읽었다면 - 그의 강박적인 성격을 생각하면 그랬을 법한데 -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이야기하고 있다. ('라깡과 쏘쉬르'. [라깡의 재탄생]. 창비. 230)

 

나의 상상은 프로이트가 소쉬르의 언어관에서 영향을 받았거나, 혹은 소쉬르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방법에서 뭔가 영감을 받았거나 하는 쪽으로 날개를 펴는 것이지만 이건 정말로 상상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소쉬르의 아들 레이몽은 '정신분석학과 언어학의 공통된 연구영역'을 개척하고자 하는 생각을 품었던 것은 사실이다(231).)

 

소쉬르가 언어라는 것이 기표와 기의가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라고 이야기한 것에 반해 라캉을 읽는 동안, 혹은 다른 책에서도 우리의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기표의 우위를 주장하는 부분들을 심심치 않게 만나게 되었고, 나는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지는 못하면서도 거기에 뭔가가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는 없었다. 맞는 예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가 연설 등에서 더욱 중요한 부분은 그 내용이라기보다는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이라든가, 문학 작품에서 문체, 특히 시에서의 음악성, 혹은 소리의 울림이 주는 느낌 등이 갖는 중요성 등에서 이 생각은 더욱 단단해지는 듯했다. 이것은 비약이긴 하지만 언어를 넘어서까지 좀 더 확장을 해 본다면 쇼펜하우어가 '모든 예술은 음악의 상태를 지향한다'라고 했는데, 음악에서는 기의는 아예 없거나, 아니면 그 중요성에 있어서도 기표에 훨씬 못 미치는 것 아닌가?

 

하지만 다시 언어의 문제로 돌아와 냉철하게 생각해 볼 때 '기의보다 기표의 우월성을 주장할 근거'가 어디에 있는가? 이 부분에 대해서 나 나름대로 계속 답을 찾는 중이다. 며칠 전부터 김석의 [프로이트 & 라캉]이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라캉의 언어관-왜 기표(시니피앙)가 기의(시니피에)보다 왜 우위라고 보았는지-에 대해서 좀 쉽고 설득력 있게 설명한 듯해서 올려본다. 덧붙여 내가 가입한 카페 중에 이 문제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있어서 이 문제 의식을 공유하고 싶은 것도 있다.] 

 

 

[시니피앙 논리와 상징계]

 

이제 상징계를 중심으로 무의식 주체의 탄생과 욕망의 본성에 대해 살펴보자.

 

모든 시니피앙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 하나의 시니피앙일 뿐이다.

                                                                   세미나 제3권 [정신병 Les Psychoses]

 

상징계는 언어에 의해 구성되지만 언어의 의미화 작용은 상상계에 속한다. 주체의 생성 조건이자 무대인 상징계는 보통 언어와 동일시되지만 엄격하게 상상계와 상징계를 구분할 때는 시니피앙 논리에 의거해서 상징계의 본성을 설명해야 한다. 상징계의 역할을 엄밀하게 규정하기 위해 라캉은 페르디낭 드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1857-1913의 기호론과 체계로서의 언어 개념을 수용하고 수정하면서 자신만의 시니피앙 논리를 창조한다. 시니피앙 논리는 무의식이 주체의 의지를 벗어나는 언어적 법칙으로 작동하는 초개인적 구조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라캉의 이론적 장치다.

 

라캉이 말하는 상징계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소쉬르의 기호론을 간단하게 살펴보자. 언어 구조에 대한 공시共時적 접근 방법을 강조하는 소쉬르는 언어를 하나의 체계syestème로 보는데, 체계를 형성하는 단위가 기호signe다. 기호는 다음 그림처럼 기표記表(시니피앙signifiant)와 기의記意(시니피에signifiè)가 결합된 것이다.

 

 


 

 

 

 

 

 

 

 

 

소쉬르는 기표를 청각적 이미지, 기의를 개념이라고 각각 정의한다. 청각적 이미지란 말의 물질적인 차원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가 '나무'라는 소리를 들을 때 그것이 우리 정신에 남기는 심상과 흔적을 말한다. 개념은 우리 머리에 떠오르는 '나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소쉬르가 기호를 언어의 최소 단위로 보는 것은 언어가 사물과 그것을 지칭하는 어휘들의 목록이고 그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게 언어학의 과제라는 전통적인 생각을 비판하기 위해서다. 어휘들의 목록이 언어라면 이미 개념들이 선행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고, 개념에 상응하는 사물들이 언제나 존재해야 한다. 그렇다면 '사랑', '미움' 같은 단어들은 어떤가? 우리는 그것에 일치하는 대상들을 쉽게 제시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추상 명제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기호와 기호들의 대립적 관계가 의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지 우리가 기호에 상응하는 대상을 미리 알기 때문이 아니다.

 

 

소쉬르에 의하면 언어는 청각적 이미지(기표)와 개념(기의)의 결합물인 기호로 이루어진다. 기호 모델에서 기표와 기의의 결합은 자의적이지만 일단 결합되어 기호를 이루면 둘은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단위로 움직인다. 앞의 기호 그림에서 원과 화살표는 기표와 기의의 결합과 상호 작용을 보여준다. 소쉬르는 이를 종이의 앞*뒷면에 묘사했다. 종이의 앞면과 뒷면을 나눌 수 없듯이 기표나 기의는 홀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기호는 고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서로 변별적 체계를 이루면서 존재한다. 이러한 상호 의존성의 관계, 즉 구조가 기호의 의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내川'라는 말의 의미는 이와 변별적 관계를 이루는 다른 기호들이 다음과 같이 나란히 놓일 때만 파악이 가능하다.

 

시내 : 산골짜기나 평지에서 흐르는 자그마한 내

내 : 시내보다 크고 강보다 작은 물줄기

강 : 넓고 깊게 흐르는 내

 

기호는 언제나 다른 기호들과 상관물로서 관계를 맺으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기호들의 가치, 즉 의미화가 발생한다. 마치 돈 1만 원의 가치는 그것이 다른 대상들과 맺는 관계 속에서 평가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예) 1만 원 = 커피 두 잔 = 돼지고기 1킬로그램 = 책 한 권

 

이처럼 언어는 기호들의 항이 맺는 관계들의 체계이며, 이 체계에서 한 쌍의 가치는 다른 항들과 공존을 통해서만 보장된다. 소쉬르의 언어학 연구는 언어의 작용에서 의미의 고정성보다는 기호들의 구조와 체계에 우선성을 부여한 것이 특징이다.

 

라캉은 언어의 의미가 기호들의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발생한다는 소쉬르의 기본적 입장을 계승한다. 하지만 라캉은 소쉬르의 기호 모델에서 원과 화살표를 제거한 후 기호를 다음과 같이 대폭 수정한다.

 

                                                          S (시니피앙)

                                                         --------------

                                                          s (시니피에)

 

여기 주목할 것은 시니피앙(기표)과 시니피에(기의)의 위치가 바뀌었을 뿐 아니라, 둘의 안정적 결합을 상징하던 가로줄이 이제 정반대로 분리선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기표와 기의를 나누는 분리선은 의미화 작용을 방해한다. 라캉은 자신이 새롭게 수정한 이 식을 시니피앙 논리의 연산식, 혹은 무의식의 연산식이라 부른다. 라캉이 만든 연산식의 의미는 시니피앙이 시니피에에 대해 더 우월하며, 시니피앙은 원인으로서 효과인 시니피에를 생산한다는 뜻이다. 시니피앙은 이제 자율적이고 독자적으로 움직이며, 시니피에는 분리선에 가로막히면서 시니피앙 밑으로 계속해서 미끄러진다. 그러면서 시니피앙들은 서로서로 결합해 시니피앙 연쇄 사슬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시니피앙 연쇄chaine signifiante, signifying chain가 언어의 체계를 이룬다. 언어의 체계는 시니피앙의 관계로, 그 자체로는 비의미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렇다면 의미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언어가 소통될 때 의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언어는 본래의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의미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연산식의 분리선을 넘어 시니피앙과 시니피에가 결합해야 한다. 여기서 라캉은 시니피앙과 시니피에를 임시적으로 묶어주는 일종의 고정점을 상정하는데, 바로 그 지점이 의미의 전달자인 주체sujet, subject가 발생하는 곳이다. 그러나 고정점은 절대적인 지점이 아니며 주체 역시 절대적 실체가 아니다. 고정점point de capiton, quilting point은 원래 쿠션의 속을 고정시키는 쿠션 단추를 가리키는 말이다. 쿠션 단추가 쿠션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듯 고정점은 기의가 기표 밑으로 계속 미끄러져가는 것을 붙들어 준다. 미끄러짐이 계속된다는 것은 특정한 의미작용이 불가능하다는 말인데 이 경우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로빈슨 크루소처럼 오지의 토착민에게 말을 가르치는 상황을 연상해 보자. 처음에 토착민이 그의 말을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기의가 기표 밑으로 계속 미끄러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어느 순가 그가 '나', '너', '프라이데이(이름)' 같은 특정 기호를 고정점으로 붙잡는다면 그것을 중심으로 다음의 의미화가 순차적으로 가능해진다. 그러나 고정점은 절대적인 지점이 아닌데 하나의 기표가 언제나 하나의 기의와 결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자'는 사전적으로 생물학적인 여성을 의미하지만 병리적 기질이 있는 사람에게 여자는 악이나 향락의 의미로 다가올 수 있다. 라캉에 의하면 변하지 않는 절대적 의미, 안정적인 의미화는 애초부터 불가능하다.

 

소쉬르가 기호 모델을 통해 기표와 기의의 분리 불가능성을 말하면서 의미의 안정성을 강조했다면, 라캉은 기표와 기의의 단절과 의미의 다의성을 강조한다. 라캉이 정신분석 임상에서 해석의 절대성을 경계하는 것은 의미 자체가 임시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의미의 확실성을 강조하는 철학과는 반대되는 태도로, 라캉은 의미보다는 비의미가 언어의 본성에서 더 중요하다가 본다. 나중에 라캉이 무의식이 상징계의 산물이라고 말하는 것은 시니피앙의 논리를 염두에 두는 것이지 무의식을 의미와 동일시하는 말이 아니다.

 

한편 의미화 과정에는 불가피하게 상상적 작용이 개입한다. 애초에 변별적 체계 속에서 상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기호가 아니라 순수 시니피앙들이기 때문이다. 시니피앙의 결합과 상호 치환이 그때그때 의미화를 발생시키지만 그것에 결부된 시니피에, 즉 의미는 계속해서 미끄러지게 된다. 그러므로 의미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행위에는 언제나 상상계적 작용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언어는 한편으로는 상징계의 구성 요소인 순수 시니피앙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상상계적 작용에 의해 오염된다. 순수 시니피앙도 주체를 완전하게 대신할 수는 없다. 상징계 역시 상상계와 마찬가지로 주체를 소외시킨다. 언어에는 의미 전달과 소외라는 이런 두 가지 차원이 공존한다. 임상에서 라캉이 상상계에 속하는 '텅 빈 말parole vide; empty speech'과 상징계에 속하는 '꽉 찬 말parole pleine; full speech'을 구분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텅 빈 말은 자아가 주인 행세를 하면서 주체를 완전히 소외시키는 말이고, 반대로 꽉 찬 말은 주체의 자리와 주체의 욕망을 드러내는 말이다.

 

비록 언어가 상상계의 영향을 받지만, 상징계의 본질은 시니피앙 논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기에 상상계적인 대상 관계와는 구별된다. 상징계는 주체를 구성하고, 주체 상호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구조이자 법이다. 상징계는 선험적 질서로서 주체를 벗어나는 타자의 영역을 말하는데, 라캉은 이를 상상계의 소타자autre; other와 구별하여 대타자Autre; Other라 부른다.   (129 -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