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으로

길버트 라일. [마음의 개념] (Gilbert Ryle, The Concept of Mind) [2010년]

by 길철현 2016. 12. 16.

*Gilbert Ryle, The Concept of Mind, Barnes & Noble, 1949


 

<감상> 100830 (13:40- )

문학을 전공하고 있으나, 철학에 대한 관심도 적은 편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대학교 1학년 2학기에 여훈근 선생님께 [철학 개론]을 배운 이래로 나름대로는 철학책을 많이 읽으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다수의 책들은 내가 읽어나가기에 버거웠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책을 소화하기 위한 기본적 소양의 부족이요, 다른 한편으로는 번역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사고의 흐름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버렸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학문의 발달을 위해서는 제대로 된 번역서의 필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해방 이후 우리의 정치*경제적인 발달과 함께 학문도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할 수 있으나, 아직도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내가 그 일부라도 담당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그러기위해서는 내 절차탁마의 정신이 더욱 요청된다.)

개론적인 철학사 정도를 읽던 나의 철학 수업은 플라톤을 본격적으로 읽으면서 그래도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리게 되지 않았나 한다. 플라톤과 고대 그리스에 대한 공부, 그리고 플라톤을 제대로 번역해 낸 박종현 선생님의 덕택으로, 플라톤의 책 몇 권은 제대로 읽은 듯하다. 물론 그 중에 제일 기억이 남는 것은 [국가](혹은 정체)일 것이다.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내 공부는 또 헤매게 되었고, 이 책 저 책을 주마간산 격으로 이해도 하지 못하면서 훑어보는 수준으로 공부를 했다. 그 와중에 철학보다 나는 [정신분석]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이 책 전에 읽은 처치랜드의 [물질과 의식](Matter and Consciousness)이 책을 읽는 새로운 방법을 알려주었다. 그것은 이해도 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읽어나가서는 아무것도 남지 않을 위험이 있으니,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꼼꼼하게 읽어나가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는 번역과 원문을 읽는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다. (사실 이것은 플라톤을 읽을 때부터 일부 사용한 방법이다.) 나의 성급함, 혹은 머리의 한계 등으로 인해 책을 차분히 소화시키지 못하고, 허겁지겁 삼킨 경향이 농후했는데, 이 책은 이해는 다소 힘겨운 사투를 피하지 않는 것임을 일깨워 주었다.

처치랜드의 [물질과 의식]은 인간을 육체와 정신으로 이루어진 이원적인 구조라고 보는 데카르트 이래의 관념이 커다란 오류라는 것을 보다 명료하게 인식하게 했는데, 라일의 이 책 또한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아니 라일의 주장이 선행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라일의 철학은 비트겐슈타인의 영향을 받은 일상언어학파의 그것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이 책에서 그는 데카르트의 기계 속의 귀신(Ghost in the Machine)”이라는 해묵은 교설이 오류라는 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강조하고 있다. (사실 이 책은 세 번의 시도 만에 겨우 끝을 보게 된 나로서는 어려운 도전이었다. 그의 글은 내 이해의 한계선 내로 들어왔다가 나갔다가 했다. 이한우의 번역은 쉬운 부분에서도 오역이 많아서 나를 더욱 헛갈리게 했다.)

요즈음 언어의 본질에 대한 나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데--이 책은 사실상 우리들의 언어 사용에 대한 분석이라고 봐도 무방할 만큼 철학자들이 언어를 잘못 사용한 용례를 지속적으로 나열하고 있다--현재로서는 이명현이 말하고 있는 세 가지 이론, 초기 비트겐슈타인과 러셀 등의 말 그림 이론, 그 다음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의 이론, 세 번째, 언어의 보편성과 선천성을 강조한 촘스키의 이론 등으로 요약된다. 이 언어에 대한 나의 관심을 체계화해 나가야 한다.

(책을 읽고 글을 써나가는 작업을 지속해 나가자. 내 언어가 얼마나 신장될 수 있는지 살펴보자.)

 

  


 

+Introduction

-Descartes left as one of his main philosophical legacies a myth which continues to distort the continental geography of the subject. (8)

 

-Philosophy is the replacement of category-habits by category-disciplines. (8)

 

*C1: Descartes' Myth

1) The Official Doctrine

-The official doctrine : With the doubtful exceptions of idiots and infants in arms every human being has both a body and a mind. His body and his mind are ordinarily harnessed together, but after the death of the body his mind may continue to exist and function. (11)

: 인간의 마음을 육체와 따로 떼어서 생각한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다리가 없는 다리의 움직임을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한 것처럼 모순적인 사고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해서 생각을 좀 더 구체화하기 이해서는 먼저 그의 책 [영혼에 대하여]를 읽어야 할 것이다. 플라톤은 육체와 영혼의 분리를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영혼이 어떤 것인지 그것의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이 부분은 [파에돈]에 잘 드러난다.

--

뇌라는 육체(물질)와 그것이 주로 담당하고 있는 여러 정신 활동과의 관계는 아직도 밝혀져야 할 것이 많은 분야이기는 하다. 그러나, 뇌를 상정하지 않고, 극단적으로 육체를 상정하지 않고, 어떤 정신적인 활동을 생각한다는 것은 어렵다. (일례로 언어활동은 어떻게 가능한가?)

 

2) The Absurdity of the Official Doctrine

-the dogma of the Ghost in the Machine (15-16)

 

3) The Origin of the Category-mistake

-As a man of scientific genius he[Descartes] could not but endorse the claims of mechanics, yet as a religious and moral man he could not accept, as Hobbes accepted, the discouraging ride to those claims, namely that human nature differs only in degree of complexity from clockwork. (19)

 

-I am saying that the phrase 'there occur mental processes' does not mean the same sort of thing as 'there occur physical processes', and therefore, that it makes no sense to conjoin or disjoin the two. (22) 육체적 과정과 정신적 과정은 다른 카테고리의 행위이다.

 

-The belief that there is a polar opposition between Mind and Matter is the belief that they are terms of the same logical type. (22)

 

4) Historical Note

 

*C2. Knowing How and Knowing That

 

1) Foreword

-. . . when we describe people as exercising qualities of mind, we are not referring to occult episodes of which their overt acts and utterances are effects; we are referring to those overt acts and utterances themselves. (25)

 

2) Intelligence and Intellect

-The combination of the two assumptions that theorising is the primary activity of minds and that theorising is intrinsically a private, silent or internal operation remains one of the main supports of the dogma of the ghost in the machine. (27)

 

3) Knowing How and Knowing That

 

4) The Motives of the Intellectualist Legend

-The traditional theory of the mind has misconstrued the type-distinction between disposition and exercise into its mythical bifurcation of unwitnessable mental causes and their witnessable physical effects. (33)

5) 'In my head'

-마음의 성질의 발휘(exercises of qualities of mind): 머리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인 것을 제외하고. 또 머리에서 일어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우월한 것도 아니다. (40) 영어 원본의 페이지

 

6) The positive account of knowing How

 

7) Intelligent Capacities versus Habits

-habitual practices: a replica of predecessors

intelligent practices : one performance is modified by its predecessors (42)

하지만 이것도 생각처럼 쉽게 2분적 구분이 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A statement ascribing a dispositional property to a thing has much in common with a statement subsuming the thing under a law. (43)

 

8) The exercise of intelligence

-What is true of arguing intelligently is true of other intelligent operations. (48)

-describing the workings of a person's mind: we are not describing a second set of shadowy operations. certain phases of his career. the ways in which parts of his conducts are managed. (50)

 

9)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10) Solipsism

-To find that most people have minds (though idiots and infants in arms do not) is simply to find that they are able and prone to do certain sorts of things, and this we do by witnessing the sorts of things they do. (61)

 

*C3. The Will

1)Foreword

 

2)The Myth of Volitions

-결의와 움직임 사이의 연결을 알 수 없다면, 결의와 움직임 사이의 인과관계를 형성할 수 없다. (66)

-(내 생각) 행동은 행동이고 의지(결의)는 결의이지, 결의가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68)

 

3) The Distinction between Voluntary and Involuntary

-일반적인 의미에서, 만족스럽고, 올바르고, 찬탄할 만할 행동을 자발적인가, 비자발적인가 따지는 것은 부조리하다. (69) 이 부분이 중요. (따라서 잘못 행동했을 경우에만 자발적인가, 비자발적인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됨.)

 

4) Freedom of the Will

 

5) The Bogy of Mechanism

 

C4. Emotion

1) Foreword

2) Feelings versus Inclinations

-William James: feelings with bodily sensations. (84)

-The imputation of a motive for a particular action is not a causal inference to an unwitnessed event but the subsumption of an episode proposition under a law-like proposition. (90)

3) Inclinations versus Agitations

4) Moods

-Mood words/ motive words (100)

5) Agitations and Feelings

6) Enjoying and Wanting

7) The criteria of motives

-In ascribing a specific motive to a person we are describing the sorts of things that he tends to try to do or bring about, while in ascribing to him a specific competence we are describing the method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s by which he conducts these attempts. (112)

8) The Reasons and the Causes of Actions

9) Conclusions

-Motives and moods are not the sorts of things which could be among the direct intimations of consciousness, or among the objects of introspection, as these factitious forms of Privileged Access are ordinarily described. (115)

 

C5. Dispositions and Occurrences

1) Foreword

2) The Logic of Dispositional Statements

-성향적인 단어(dispositional words)를 삽화적인 단어(episodic words)로 생각하는 오류. (119)

3) Mental Capacities and Tendencies

4) Mental Occurrences

-We are all trained in some degree to be our own referees. . . .(148)

5) Achievements

-a task verb/ a achievement verb (150)

 

C6. Self-Knowledge

1) Foreword

-mind: a second theatre. (155)

(언어는 우리의 생각을 이끌어 나가게 하는 도구일 뿐 아니라, 우리를 혼란에 빠트리기도 하는 것이다. 그래서 항상 우리는 성찰을 해야 한다.)

2) Consciousness

-there are no occurrences taking place in a second-status world, since there is no such status and no such world and consequently no need for special modes of acquainting ourselves with the denizens of such a world. (161)

3) Introspection

4) Self-Knowledge without Privileged Access

5) Disclosure by Unstudied Talk

-Unstudied utterance is not honesty or candour. 정직은 매우 세련된 성향, 불성실을 삼가려는 성향/ 솔직함은 침묵하려는 것을 삼가는 것. (182)

6) The Self

+난제: [] 개념의 [체계적 도피성]이라 부를 것. (241)

-나는 불에 데지 않고, 나의 얼굴과 손만 뎄다.

나는 불에 데지 않고 머리카락만 눌었다. (번역 245)

-고차적 행위 higher order actions (248)

-자기의식이란 말이 어떤 식으로건 사용된다고 할 때 그 말은 신성화된 유사광학적 모델에 기초하여 마치 거울에 반사도니 자기 자신의 빛의 광선에 의해 스스로를 밝히는 횃불처럼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그 반대로 그것은 보다 정직하고 예지적인 목격인지 아닌지에 대해 통상 더 효과적으로 다루는지 아니면 덜 효과적으로 다루는지의 특별한 경우일 뿐이다. (253) 뒷부분 이해가 어려움.

-개선의 여지가 없이 완벽한 일은 일어나지 않으며, 개선의 여지가 없는 일이란 있지도 않다. (253) 이 말에 동의하는가? 정확하게 맞는 답이라는 것은 더 이상의 것이 없다는 것 아닌가? 수학이나 바둑에서. 라일이 여기서 이 말을 사용한 것은 어떤 의미인가?

-‘라는 개념을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대상을 바라보는 존재인데, 또 나를 분리해서 대상화할 수 있는가? (187)

-‘I' is not an extra name for an extra being: it indicates, when I say or write it, the same individual who can also be addressed by the proper name 'Gilbert Ryle'. 'I' is not an alias for 'Gilbert Ryle'; it indicates the person whom "Gilbert Ryle' names, when Gilbert Ryle uses 'I'. (188)

-A person can and must act sometimes as reporters upon his own doings and sometimes as prefect regulating his own conduct, but these higher order self-dealings are only two out of innumerable brands, just as the corresponding inter-personal dealings are only two out of innumerable brands. (194)

7) The Systematic Elusiveness of 'I'.

-나는 집게손가락으로 다른 것을 지적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은 이 손가락을 가리킬 수 있다. 그러나 집게손가락이 그 자체가 가리키는 대상이 될 수는 없다. 이는 어떤 다른 것이 미사일을 맞출 수는 있어도 미사일이 그 자체의 표적이 될 수 없는 것과 같다. (256)

-나는 다른 사람의 그림자에서는 벗어날 수 있지만 나의 그림자에서는 벗어날 수 없다. (257)

-To concern oneself about oneself in any way is to perform a higher order act, just as it is to concern oneself about anybody else. (195)

-My commentary on my performance must always be silent about one performance, namely itself, and this performance can be the target only of another commentary. (195)

 

CVII. Sensation and Observation

1) Foreword

2) Sensations

-나만이 나의 감각에 대해 일차적인 서술을 할 수 있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은 갖지 못하는 기회, 즉 그런 감각들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나 혼자 갖는다는 뜻은 아니다. (270)

-Having a sensation is not an exercise of a quality of intellect or character. (204)

3) The Sense Datum Theory

-감각이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잘못된 주장일 뿐만 아니라 감각 그 자체가 대상들에 대한 관찰일 수 있다는 주장 또한 잘못된 것이다. (277) 감각은 관찰을 하는 데 필요한 그 무엇, 도구인가?

-서치라이트가 눈부시다라고 하는 말에는 그것이 지금 누군가를 눈부시게 하고 있다는 말이 함축돼 있지 않다. (286) 보편적 상황을 말할 따름.

4) Sensation and Observation

-observational success: see, hear, detect, discriminate

-observational undertakings: watch, listen, probe, scan, savour (222)

-To know how a tune goes is to have acquired a set of auditory expectation propensities, and to recognise or follow a tune is to be hearing expected note after expected note. (228)

-semi-hypothetical: -가설적인/ mongrel-categorical--잡종-범주적인 (229)

5)Phenomenalism

-현상론의 지지자들은, 현재 유포되고 있는 지각이론이 관찰불가능한 실재나 요인들을 상정함으로써 문기둥과 같은 사물들에 대해 감각들에 의해서는 드러날 수 없는 속성들을 부여하고 있다고 보았다. (304)

-감각작용이 잘못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오류방지장치가 된 관찰이어서가 아니라 도대체가 그것은 관찰작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307)

-현상론이 반대하는 이론: Since we can observe only sensible objects, gate-posts must be partly constituted of elements which cannot be found out by observation.

-현상론: Since we can observe only sensible objects, propositions about gate-posts must be translatable into propositions about sensible objects. [sensible objects라를 말이 모순] (236)

6)Afterthoughts

 

*CVIII. Imagination

1) Foreword

2) Picturing and Seeing

3) The Theory of Special Status Pictures

-모의살인이 살인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상상 속의 광경이나 소리도 실제의 광경이나 소리가 아니다. (324)

-He seems to smell, or he fancies he smells, something, but there is no way of talking as if there existed an internal smell replica, or smell facsimile, or smell echo. (253)

4) Imagining

5) Pretending

-가정해본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하게 되는 사고보다 훨씬 고차적인 작용이다. 우리는 판단을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판단을 내리는 법부터 배워야한다. (342)

-One cannot know how to play a part without knowing what it is like to be or do ingenuously that which one is staging. (259)

6) Pretending, Fancying and Imaging

-마음의 눈으로 그 산을 본다는 것은 헬벨린산을 보는 것에 관한 사고를 포함하며 따라서 헬벨린산을 보는 작용보다 훨씬 고차적인 작용이다. (351)

+흄이 잘못 생각한 것. [감각][인상]에 대한 것. (271. 여러 군데)

7) Memory

-'Recall', save when it means 'try to recall', is in the same way a 'got it' verb. (278)

 

*CIX. The Intellect

1) Foreword

2) The Demarcation of the Intellect

-사고 1) 어떤 사람이 뭔가를 생각해 내는 일에 관여하고 있다

1) 그 사람이 생각하는 것은 이러저러한 것이다

3) The Construction, Possession and Utilisation of Theories

4) The Application and Misapplication of Epistemological Terms

-reaching a conclusion, like arriving in London, solving an anagram and checkmating the king, is not the sort of thing that can be described as gradual, quick or instantaneous. (302)

5) Saying and Teaching

6) The Primacy of the Intellect

7) Epistemology

-If the whole imposing apparatus of terms like 'idea', 'conception', 'judgment', 'inference' and the rest has been wrongly transferred from the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of published theories to the description of acts and processes of building theories, what is left of the theory of knowledge? (317)

 

*CX. Psychology

1) The Programme of Psychology

-심리학적 이론들은 인간행동에 대한 인과적 설명을 주고 있고, 또 주려한다는 점에서 독자성을 갖는 것이다. (420)

2) Behaviourism

-The Cartesian myth does indeed repair the defects of the Hobbist myth only by duplicating it. But even doctrinal homeopathy involves the recognition of disorders.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