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296

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 - 전체주의의 기원 2. 이진우・ 박미애. 한길사 (1973) [1951] 11 [감상]  이 책 또한 논문 작업에 필요해서 집어든 책이다. 어떤 평론가가 콘래드의 [진보의 전초기지]에 나오는 두 인물, 카이어츠와 칼리에를 '폭민의 일종'으로 본 내용이 있었고, 그게 논문을 쓰는데 도움이 될 듯했기 때문이다(아렌트 자신은 [어둠의 심연]에 나오는 커츠를 폭민과 연결시키고 있다). 책이 워낙 방대하여 일부만 읽을까하다가, 3부로 된 이 책 중 2부가 제국주의 편이라, 논문과의 관련성이 더욱 커 보였고, 그래서 과감하게? 처음부터 읽어나갔는데, 40일 정도만에(18년 12월 17일에 시작) 읽고, 정리하는 걸 마쳤고(읽고 난 뒤에 몇 달이 지나서야 겨우 정리를 하는 악습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듯),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감상을 적고 있다. (중간중간에 따분하고 다소 난해하고, 세부적.. 2025. 2. 14.
조지프 콘래드 연대기(Joseph Conrad Chronology) [옥스퍼드에서 나온 Oxford Reader's Companion to Conrad를 번역] 유제프 테오도르 콘래드 나웨치 코제니오프스키 베르디체프 출생 2021. 12. 19.
Jessie Conrad - Joseph Conrad and His Circle. E. P. Dutton. 1935 제시 콘래드가 남편 사후에 낸 두 권의 전기 중 두 번째 권에 속하는 책으로, 첫 번째 책 Joseph Conrad As I Knew Him과 중복되는 면도 있지만 콘래드의 친구와 작가, 지인들에 좀 더 초점을 맞추었다. 그녀의 줄기차게 주장하는 것 역시도 첫 번째 책과 다름없이 자신이 콘래드의 아내이자 나이는 어리지만 그에게 어머니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어려운 가정을 꿋꿋하게 유지해 왔다는 자기 합리화이다(그 점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녀에게는 콘래드 작품이 갖는 위대성이나 콘래드의 내면을 제대로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다소 편협한 시각이긴 하지만 이 책에는 그녀가 아니라면 알 수 없는 내용들이 많이 실려 있어서 콘래드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콘.. 2021. 12. 19.
제프리 마이어스 - 조셉 콘라드(Jeffrey Meyers - Joseph Conrad). 왕철 역. 책세상. 1999. [서평]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유일한 콘래드의 전기. 그것도 국내 저자의 저서가 아니라 제프리 마이어스의 저작의 번역본이다. 번역자는 나중에(2006) [비밀요원]을 번역하기도 한 콘래드 전문가인 전북대 교수 왕철이다(지금은 은퇴했는지. 조사를 해보니 이 분은 본명이 "왕은철"인 모양으로 아직 현직에 있다). 몇 군데 사소한 실수가 있기는 하지만 번역은 전체적으로 좋은 편이다(영어본은 킨들판으로 구입을 해두었다). 마이어스의 전기는 다른 전기들과 유사하게 콘래드의 전기와 작품론을 겸하고 있는 책인데, 번역자가 밝힌 대로 흥미롭게 읽을 수가 있어서 좋다. 콘래드의 유일한 혼외관계라고 할 수 있는 "제인 앤더슨"과의 관계를 상세하게 밝히고 있는 면이 이 책이 다른 책들과 변별되는 지점이다. 그 밖에 콘래드가 .. 2021.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