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296

Andrea White - Joseph Conrad and the Adventure Tradition. Cambridge. 1995. [1993] Introduction 1) 초기 작품에 short shrift만 줌. "apprentice fiction" - 초기 작품의 본질적인(intrinsic) 생각이 콘래드 전작품에 이어지고. 제국이라는 문제에 대한 축이 되는(중추적인 pivotal) 태도에 있어서 특히 중요. 2) Anthony Trollope, Frederick Marryat의 영향. - 이념과 현실의 괴리. (disparity between the aspirat.. 2019. 8. 19.
Florence Clemens - Conrad Malaysia. 1941 [TWP] [콘래드의 말레이 소설이 얼마나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나 말레이 군도의 모습 생활상 등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요약하고 있는 논문. 덧붙여 이 시기의 말레이 제도의 상황에 대해서 보충 설명을 하면서, 주로 콘래드 소설의 뛰어난 점을 지적하면서, 약점 또한 함께 언급하고 있.. 2019. 8. 19.
Cedric Watts; The Covert Plot of Almayer's Folly: A Structural Discovery [C2] 2) Covert plot[감춰진 플롯]을 찾아내면 이 작품이 보다 지적이고, 매우 조직화된(organized) 작품이며, 무엇보다 매우 아이러니컬한 작품이라는 걸 깨닫게 됨. 3) 네덜란드 당국에 화약을 몰수당한 압둘라(레쉬드)는 그것이 올메이어의 밀고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 2019. 8. 19.
Almayer's Folly Contemporary Reviews [Sherry - Critical Heritage] 1. Daily News 47) the psychological study of a sensitive European. [과연 올메이어가 '예민하다'고 할 수 있는가? 이기적이고 환상에 빠져 있는 인물] - The author is intimately acquainted with Borneo and its people. 2. Scotsman - 생생한 묘사 (if not from an intimate experience of life in Borneo, then from a great gift of imagination) 3. Daily Chr.. 2019.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