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래드, 조지프/박사논문(콘래드)40 Fredrick Jameson - 'Romance and Reification'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Fredrick Jameson - 'Romance and Reification'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Lord Jim과 Nostromo를 집중적으로 분석. 앞부분만 일단 봄.) 콘래드 작품의 분열성에 대한 지적. 이러한 분열성이 제국주의의 부면이라고 말함. (596) In Conrad we can sense the emergence not merely of what will be contemporary modernism (itself now become a l.. 2017. 10. 23. 원유경, 콘래드의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제국주의의 문제[왕은철 편. 조지프 콘래드(Joseph Conrad). 동인 * 원유경, 콘래드의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제국주의의 문제(재독) - 인용 (102) 콘래드의 작품을 인간의 내면 세계에 대한 깊은 고찰로 읽던 독자들은, 아체베 이후 콘래드의 작품에서 아프리카와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백인의 내면적 성장을 위한 배경이나 도구에 불과한 것으로 묘사 - 콘.. 2017. 10. 19. 시드릭 왓츠 - 콘래드 입문(Cedric Watts - A Preface to Conrad) Cedric Watts - A Preface to Conrad. Longman. 1982 [인용] 1. Biographical Background 8) 폴란드의 성격 규명, 폴란드인 15) 아폴로가 아내의 죽음에 대해 쓴 글. 16) 아폴로가 죽어가는 과정. Poland Revisited에 실린 글. --) loneliness, of tragic death, of Polish nationalism, of self-sacrifice for a noble cause, of beleaguered solidarity. 18) [.. 2017. 7. 28. 콘래드를 찾아서 I (170722) [콘래드의 작품들을 정신분석적으로 풀어보는 것이 내 논문의 큰 주제인데, 콘래드의 적지 않은 작품들을 다 읽었고, 또 몇 번씩 읽은 작품들도 있지만, 정신분석 자체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작품을 좀 더 심도 있게 접근하는 노력의 부족 - 관련 논문들을 많이 읽어야 할 터인데 콘래드의 논문을 정신분석적 견지에서 접근한 논문들이 많지는 않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박사 과정을 마친 후, 논문을 쓰는 훈련을 하지 않은 것 등이 겹쳐져서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그렇긴 하지만 마침 방학과 함께 논문에 몰두할 시간적 여유도 확보 되었고 요 며칠 무더운 날씨로 에어컨이 잘 나오는 동네 도서관에서 꾸준히 공부를 하고 있으니 조만간에 파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생각들이 꿰어지지.. 2017. 7. 22.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