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진보의전초기지

진보의 전초기지(Outpost of Progress) 논문

by 길철현 2017. 10. 22.


*Jakob Lothe. Conrad's Fiction as Narrative Concentration: An Outpost of Progress. (CII)


이 작품에서는 작가적 화자(authorial narrator)와 등장인물 간에 큰, 그리고 지속적인 갭이 있다(165). 전지적 위치에 있는 화자는 등장인물들에 대해, 혹은 상황에 대해 '아이러니컬'하게 말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불안'을 언급하는 부분에서는 화자는 이 작품의 상황을 이야기할 뿐만 아니라 화자 자신의 인생 경험을 반영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그럼에도 이 작품의 상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하는 이 화자는 전체적으로 보아 '아이러니의 사용'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163) the function of the authorial narrator and the use of irony

(165) 작가와 작품의 사건과 등장인물 간의 거리의 문제.

there is an enormous, and largely constant, gap between the impersonal authorial narrator and the story's characters.

(166) But the contact with pure unmitigated, savagery, with primitive nature and primitive man, brings sudden and profound trouble into the heart. (본문 - 여기서도 아프리카의 원시성이 강조되고 있다.)

(167) erlebte Rede - experienced speech

(167) 이 작품에서 보이는 total omniscience는 콘래드 작품에서는 예외적인 것.

(168) The wicked people were gone, but fear remained. Fear always remains. A man may destroy everything within himself, love and hate and belief, and even doubt; but as long as he clings to life he cannot destory fear; the fear, subtle, indestructible, and terrible, that pervades his beings; that tinges his thoughts; that lurks in his heart; that watches on his lips the struggle of his last breath. (본문 - 불안의 문제가 이 작품과 HD에서 중요한 부분)

- the narrator makes this generalization not only on the basis of his knowledge of Kayerts and Carlier, but on the basis of his own experience of life as well.

(168) Kayert의 자살 이유.

(169) irony를 보여주는 부분. (Great Trading Company - Great Civilizing Company) 무역과 문명이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면에서.

(171) In HD, more stress is placed on the problem of motivatioon for human actions, and on narrative modulations through Marlow. In OP the distance betwen the authorial narrator and the characters, the narrator's omniscience and his generalizations are all linked to the use of irony, but a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is story is the fluctuation between irony and merely detatched, informative authorial commentary.



* Gail Fraser. Conrad's Irony: 'An Outpost of Progress' and The Secret Agent [CII]

[요약] 프레이저는 전지적 화자를 사용한 이 두 작품이 아이러니의 사용(verbal irony, the use of incongruities or contrasts, and ironic parallels)을 통해 the tragic disjunction between the comfortable world of appearances and the 'madness and despair' beneath the surface를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


(174) aloof detachment

(175) This voice [sardonic omniscient narrator] guides our interpretation of events and distances us from the protagoinsts ; as in The Secret Agent, Conrad discriminates among various degrees of criminality and stupidity, and permits no heroes.

(175)  두 작품 다 'the folly and hopelessness of man's attempt to organize his world.

(175) 칼리어 - 당구실을 미덕, 문명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음. 이 부분은 한 번 짚고 넘어갈 수도 있을 듯.

(181) 두 작품에서 Conrad's irony moves from sardonic criticism of individuals to a direct involvement with their situation in the latte part of the story.

(181) 3가지 주된 방법 - verbal irony, the use of incongruities or contrasts, and ironic parallels.

(182) Conrad's central theme - the tragic disjunction between the comfortable world of appearances and the 'madness and despair' beneath the surface.

(183) [OP] 두 사람의 백인뿐만 아니라 잡혀온 흑인들 열 명의 처지도 마찬가지로 불우. 이 부분에 대한 논평 볼 것.

(185) 두 사람은 환멸을 통해 인간의 이상과 현실,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단속(disjunction)을 강조.

(185) Unlike HD, with its suggestive ambiguities, the ironic perspective of both  두 작품 invites our moral judgement on an inhumane and materialistic society.


* Guerard. Conrad the Novelist. 63-65

[게라드는 이 작품이 너무 의식적이고 지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 작품이라 우리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고 한다.]

(64) a detached omniscient author with essay-like explicitness

(65) 독자가 이 작품에 쉽게 공감하지 못하는 것처럼, 작가도 마찬가지. His story is wholly conscious and intellectual.

- most of "An Outpost" comes to us in a plain, efficient, and unevocative prose.

*Jakob Lothe - Conradian narrative [The Cambridge Companion to JC]



* 원유경, 콘래드의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제국주의의 문제


- 인용

(102) 콘래드의 작품을 인간의 내면 세계에 대한 깊은 고찰로 읽던 독자들은, 아체베 이후 콘래드의 작품에서 아프리카와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백인의 내면적 성장을 위한 배경이나 도구에 불과한 것으로 묘사

(103) 프레드릭 제임슨 - 콘래드 작품이 모더니즘의 회의적 성찰을 통해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동시에 대중 문학인 로만스 장르에 나타나는 당대의 인종적 이데올로기의 정형을 그대로 답습하는 분열 증세를 보임.

(105) 콘래드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제국주의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신중한 예술가.

(106) 1880년대를 기점으로 제국주의에 큰 변화가 일어남.

(106) 화이트 - 1875 - 아프리카 11퍼센트 식민지/ 1902 - 90퍼센트

(106) 베를린 조약이 갖는 의미. 식민지 쟁탈전의 격화. 아프리카를 악의 중심으로 봄. 아프리카의 노예제도, 인간 제물, 식인제도 등의 악마적 행위와 야만성을 정화시키는 것이 영국인들의 소명이라고 생각. 

(107) 브랜틀링어 - 아프리카인을 비난하면서 유럽인들 자신의 가장 어둥운 본능을 비난 대상인 희생작들에게 투사하려는 심리

빅토리아 시대의 아프리카에 어둠의 장막을 드리우게 되었으며, 빅토리아 사람들은 이를 사실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주3) 스탠리가 만들어낸 "어둠의 대륙 아프리카" - [어둠의 대륙이라는 신화의 계보]

(-) 계몽주의의 모더니티. 신성을 숭배하던 과거에 대해 합리적 인간 정신에 대한 강조를 통해 현대의 우월성을 주장. - 유럽 중심주의

(108) 유럽 제국주의의 문명화 사명.

(-) 로버트 영 : 휴머니즘은 식민주의의 이데올로기

(-) 파농 : 유럽의 식민주의가 원주민을 탄압하고 인간 이하로 전락시키는 행위를 저지르면서 서구 휴머니즘에서 그 정당성을 찾고 있음.

(109) 계몽주의의 모더니티, 휴머니즘, 진화론 - 정치적 경제적 제국주의와 결탁 

(109) David Livingston - 상업과 기독교를 통해 아프리카를 활짝 열어놓고 문명화하자.

(110) Sandya Shetty - 콘래드 당대 이데올로기의 틀에 갇힌 작가. 그 밖의 작가나 비평가들 - 탈식민주의 작가.

(-) 콘래드가 당시 유행한 문헌들의 영향을 받아 아프리카를 신비화된 상상적 공간으로 묘사. 그러나 그를 제국주의 담론에 갇힌 작가로 비판하는 것은 지나침.

(115) 세기말에 유럽인들은 열등한 식민지 인동과 그곳의 풍토에 오래 접촉하면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퇴행할 지도 모른다. (going native에 대한 두려움. Kurtz, Marlow)

[원유경의 이 앞부분은 상당한 공부를 바탕으로 정리한 글이다.]


[문명의 전초 기지]

(118) 이 작품은 [카레인]의 맹목적인 영국 제국에 대한 예찬과 달리, 제국 찬양의 이면에 놓인 식민교역자들의 비참한 실상을 묘사하고, 제국주의 담론을 회의적이고 아이러닉한 시각에서 비춰보는 작품.

(119) 전지적 화자는 두 백인을 냉소적인 거리를 두고 묘사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식민지에 던져진 평범한 백인들이 겪는 애환, 그들에게 주입된 제국주의의 이상과 무기력한 현실 사이의 간격이 가져오는 비극에 초점을 맞추는 것.

(아프리카 대륙이나 원주민에 대한 묘사는 당대 문헌의 관습을 답습.)

(122) Gail Frazer. 무역회사의 냉혹한 물질 추구를 상징하는 마콜라는 야만과 문명의 기괴한 결합을 보여주는 인물.

(123) 인종간의 우열관계를 전복한 점에서 아프리카 신화와 인종 이데올로기의 해체를 시도하고 또 문명과 진보의 이면에 은닉된 제국주의의 추하고 혐오스러운 실상을 폭로하는 작품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아프리카의 자연과 아프리카의 원주민을 사악한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그 신화를 다시 복원하고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