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4 4 3 3 1
3 3 2 2 4
2 2 1 3 4
2 4 2 1 3
2 1 2 1
[주관식]
1. 왕정복고 시기에 유행한 극 양식은 Heroic Play(Tragedy)와 Comedy of Manners이다. 영웅극 혹은 영웅비극의 대표 작품은 John Dryden의 The Conquest of Granada와 All for Love 등이고, 풍속희극의 대표작은 Willima Wycherley의 The Country Wife, 또 William Congreve의 Love for Love와 The Way of the World 등이 있다.
2. Byronic Hero는 원래 Childe Harold's Pilgrimmage, Manfred 등 바이런 작품의 주인공들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된 것인데, 음울하고 회한에 가득차 있고 뭔가 비밀을 안고 있는 인물이다. 하지만 이들은 무엇보다 편협한 사회적 인습에 휘둘리지 않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인간이기도 하다. [Wuthering Heights]의 히스클리프나 [Moby Dick]의 에이헙 선장 같은 인물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고딕 소설은 신고전주의의 지나친 이성주의에 반발하여 인간의 비이성적인 면, 비논리적인 꿈같은 면 등을 보여주는 일종의 공포소설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유행했다. 고딕 소설의 배경은 주로 중세 외국의 성 같은 곳이며, 호레이스 월폴, 앤 래드클리프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바이런적 주인공이나 고딕 소설은 둘 다 낭만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3. 미국의 20년대는 경제적으로는 번성의 시기였으나, 정신적으로는 1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많은 사람들이 공허감에 시달리던 시기였다. 이 시기는 다시 말해 기존의 가치관에 대한 믿음을 상실했으나 그것을 대체할 새로운 가치관을 찾지 못해 방황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작가들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기 나름의 새롭고 독자적인 방식을 모색하여 뛰어난 작품들을 많이 남겼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가들은 F. Scott Fitzgerald, Ernest Hemingway, William Faulkner 등이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Fitzgerald의 The Great Gatsby, Hemingway의 The Sun Also Rises, A Farewell to Arms, For Whom the Bell Tolls, The Old Man and the Sea, Faulkner의 The Sound and the Fury, Absalom, Absalom 등이 있다.
4. 부조리 극은 인간과 인간의 조건이 논리적 이성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부조리 문학의 일부로,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40년대 말 50년대에 널리 유행했다. 등장인물들의 대사는 논리적으로 잘 연결이 되지 않고, 무대 또한 비사실적이다. 대표적인 부조리 극작가로는 Samuel Beckett, Harold Pinter, Edward Albee 등이 있다.
'독학사17학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의 고사 문제 해답 4회 (0) | 2018.10.01 |
---|---|
모의고사 문제 해답 [3회] (0) | 2018.09.16 |
모의고사 문제 해답 [2회] (0) | 2018.09.16 |
4단계 [영미 문학 개관]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0) | 2018.08.01 |
영문학과 영국의 역사 (0) | 201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