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학사17학번

모의고사 문제 해답 [2회]

by 길철현 2018. 9. 16.

[2회]


[객관식]

1 4 1 3 1

4 2 4 2 1

1 2 3 4 1

1 3 4 3 3

3 2 4 2


[주관식]


1. Hamlet, Macbeth, Othello, King Lear


2. 18세기 초반에 나온 디포의 Robinson Crusoe는 근대장편소설(Novel)의 시발점이 되는 작품으로 이후 소설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 작품은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평범한 인물이 겪는 개연성 있는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이후 리얼리즘 소설들과 형식적인 면에서 유사하다. 다만 지나친 우연성이나 과장된 사건들은 이 작품이 전대의 로맨스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음을 보여준다.


3. 1920년대 미국 남부에서 시작하여 4,50년대 미국의 주류 비평이 된 New Criticism은 작품의 구조나, 비유, 언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대표적인 내재적 비평이다. 이 신비평에서는 '작품을 하나의 완결된 대상'으로 생각하여 다른 무엇보다도 작품 자체에 집중할 것을 강조한다. 작가의 의도나 심리 상태, 독자의 영향보다는 작품 자체를 꼼꼼히 읽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시 비평에서 탁월한 성취를 보였다.


4. 객관적 상관물, 즉 objective correlative는 엘리엇의 주요 시론 중 하나로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정서를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건을 들어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의 작품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에서 화자는 저녁 해가 주는 몽롱함을 '수술대 위에 마취된 채 누워 있는 환자'에 비유함으로써 그 느낌을 구체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