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학사17학번

모의 고사 문제 해답 4회

by 길철현 2018. 10. 1.

[객관식]


1 2 4 4 3

2 3 4 2 4

4 2 2 1 1

2 2 1 3 4

3 1 1 3


[주관식]


1.  1) 인간의 첫 번째 불복종과 선악과를 따먹음으로써 세상에 죽음이 오고, 에덴 동산을 잃게 된 것. 그 다음 예수님이 우리를 구원해주는 것 등.

2) 천상의 뮤즈

3) 산문에서든 시에서든 지금껏 시도된 적이 없는 것을 추구하는 가운데 에어니언 산 위로 곧바로 솟아오르는 것.


2. 18세기 초 영국 소설이 발생하는 시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작가는 Samuel Richardson과 Henry Fielding이다. 리차드슨은 등장인물들의 내면 심리를 생생하게 포착하여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장면 장면을 독자들에게 실감나게 보여준다. 이에 반해 필딩은 빈틈 없는 플롯으로 독자의 흥미를 불러 일으키며, 다양한 인물군을 등장시켜 당대 사회의 특징을 잘 포착한다.

(D. Defoe는 당대의 보통 인물을 등장시켜 개연성있는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이후 리얼리즘 소설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3. 19세기 말 프로이트에 의해 시작된 정신분석학은 무엇보다 인간의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려고 시도한 학문이다. 정신분석학은 문학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는데, 모더니즘 문학의 대표적인 기법인 "의식의 흐름" 기법은 정신분석의 자유연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인간 정신의 흐름을 추적하여 우리 정신의 깊은 면을 탐구하려는 시도가 강화된 것이다. 그 밖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등의 이론은 어린 시절의 경험이 이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따라서 모더니즘 문학에서도 어린 시절이 갖는 중요성을 더욱 더 강조하게 되었다.


4. 19세기 전반기에 시작하여 남북 전쟁 무렵까지 유행했던 초월주의는 미국의 자생적인 사상적 흐름이다. 이 운동의 창시자는 Ralph Waldo Emerson이고, 그를 이어받은 인물이 Henry David Thoreau이다. 초월주의의 큰 특징은 개인의 직관과 양심을 무엇보다 중요시하는 일종의 정신주의이자 이상주의라는 점이다. 초월주의자들은 편협한 청교도주의에 반발하였으며, 보다 관대하고 진보적인 유니테리어니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면서도 또 그것을 넘어서려 했다. 초월주의는 세상 만물에서 '신'을 찾으려 했으며, 그래서 상당히 낙관주의적이다. 이 낙관주의적인 태도는 많은 이들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독학사17학번'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haniel Hawthorne and Romance  (0) 2018.10.10
화자 Nick Carraway  (0) 2018.10.10
모의고사 문제 해답 [3회]   (0) 2018.09.16
모의고사 문제 해답 [2회]  (0) 2018.09.16
모의 고사 문제 해답 [1회]  (0) 2018.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