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1984년에 조성되었으며 만수면적이 15.4헥타르인 전형적인 계곡형 저수지.
[구성과 현황](디지털 완주 문화 대전)
구성
광곡저수지의 유역 면적은 392㏊, 만수 면적은 15.3㏊이며 홍수 면적은 16.5㏊이다. 수혜면적은 완주군 구이면 광곡리, 덕천리 등 185㏊이다. 주로 관개용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홍수 조절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발빈도는 10년, 홍수빈도는 100년이다. 제방은 필댐[죤형]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고 제방 높이 21.8m, 제정 폭 6m, 제방 연장 248m이다. 총저수량 및 유효저수량은 1,339,000㎥이며 사통형으로 취수형식을 취하고 있다.
현황
광곡저수지는 전주 근교의 전형적인 계곡형 저수지이다. 2018년 현재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 전주완주임실지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전주에서 완주군 구이면 소재지를 향해 구이삼거리 왼쪽 길을 따라가면 광곡저수지가 보인다. 구이저수지 동북쪽에 솟아 있는 경각산[660m] 아래에 위치해 있다. 만경강 수계로 낚시인들이 자주 찾는 저수지 중의 하나이다.
[탐방기] 구이저수지로 가는 길에 찾게 된 저수지. 도로에서는 사로 때문에 제방으로 갈 수 없어서 일단 옆에서 사진을 몇 장 찍었다. 안내판은 보통 제방 위에 설치하는데 이 저수지에는 안내판이 내가 차를 세운 곳 근처 다소 엉뚱한 곳에 있었다. 그 부근에서는 낚시를 나온 사람이 좋은 포인트를 찾느라 분주했고. 나는 고개를 넘어 [어두저수지]에 들렀다가 다시 마을길을 따라 제방으로 갔다(흥미롭게도 마을 이름은 난산이었다. 이 난감한 마을 이름은 한자로는 알산, 알 모양의 산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인 듯했다). 마을길은 내비와 잘 맞지 않아 돌아나와야 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제방 위로 올라가자 상부 주위의 꽤 높은 산들과 어우러져 고요하고도 멋진 풍광을 선사했다.
'여행 이야기 > 호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수제[공수저수지, 전북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20220403) (0) | 2022.04.10 |
---|---|
어두저수지[전북 완주군 상관면 신리](20220403) (0) | 2022.04.10 |
상관저수지[전북 완주군 상관면 마치리](20220403) (0) | 2022.04.09 |
아중호수[인교저수지, 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무릉지(20220403)(둘째 날 1)(함양, 전주, 구이저수지, 금산사)[20220402-03] (0) | 2022.04.09 |
성남저수지[전북 임실군 성수면 성수리](20220402)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