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의 [법 앞에서]
법 앞에 한 문지기가 서 있다. 이 문지기에게 한 시골 사람이 와서 법 안으로 들어가게 해달라고 청한다. 그러나 문지기는 그에게 지금은 입장을 허락할 수 없다고 한다. 그 시골 사람은 곰곰이 생각한 후에 그렇다면 나중에는 들어갈 수 있겠느냐고 묻는다. "가능하오"라고 문지기가 말한다. "그러나 지금은 안 되오." 법으로 들어가는 문은 언제나 그렇듯이 열려 있고 문지기가 옆으로 비켜서 있기 때문에 그 시골 사람은 몸을 굽히고 문을 통해서 그 안을 들여다보려고 한다. 그것을 본 문지기가 큰 소리로 웃으며 말한다. "그렇게도 끌린다면 내 금지를 어기고서라도 들어가 보시오. 하지만 내가 힘이 장사라는 걸 알아두시오. 게다가 난 말단 문지기에 지나지 않소. 그러나 홀을 하나씩 지날 때마다 문지기가 서 있는데 갈수록 힘이 센 문지기들이오. 나조차도 세 번째 문지기의 모습을 쳐다보기 힘겨울 정도라오." 시골 사람은 그런 어려움을 예상하지 못했다. 그는 법이란 정말로 누구에게나 그리고 언제나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모피 외투를 입은 그 문지기의 모습. 그의 큰 매부리코와 검은색의 길고 가는 타타르족 콧수염을 뜯어보고는 차라리 입장을 허락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편이 훨씬 낫겠다고 결심한다. 문지기가 그에게 의자를 주며 앉으라고 한다. 그곳에서 그는 여러 날 여러 해를 앉아 있다. 그는 들어가는 허락을 받으려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자주 부탁을 하여 문지기를 지치게 한다. 문지기는 가끔 그에게 간단한 심문을 한다. 그의 고향에 대해서 자세히 묻기도 하고 여러 가지 다른 것에 대해서 묻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은 지체 높은 양반들이 건네는 질문처럼 별 관심 없이 그저 물어오는 질문들이고, 문지기는 마지막엔 언제나 그에게 아직 들여보낼 수 없다고 말한다. 그 시골 사람은 여행을 위해서 많은 것을 장만해왔는데, 문지기를 매수할 수 있을 만큼 가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이용한다. 문지기는 주는 대로 받으면서도 "나는 당신이 무엇인가 소홀히 했다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받을 뿐이라오"라고 말한다. 수년간 그는 문지기를 하염없이 지켜보고 있다. 그는 다른 문지기들은 잊어버리고, 이 첫 문지기야말로 법으로 들어가는 데 유일한 방해꾼인 것처럼 생각한다. 그는 처음 몇 년 동안은 이 불행한 우연에 대해서 무작정 큰 소리로 저주하다가 나중에 늙자 그저 혼잣말로 투덜거린다. 그는 어린애처럼 되었고 문지기에 대해서 수년간이나 열성적으로 관찰한 탓에 모피 깃에 붙어 있는 벼룩까지 알아보았으며, 그 벼룩에게까지 자기를 도와서 문지기의 마음을 돌리도록 해달라고 부탁하기까지 한다. 마침내 그는 눈이 침침해진다. 그는 자기의 주변이 더 어두워진 것인지, 아니면 그의 눈이 착각한 것인지 알 길이 없다. 그러나 그는 이제 그 어둠 속에서 법의 문에서 꺼질 줄 모르는 광채가 흘러나오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제 그는 더 이상 살지 못할 것이다. 죽기 전에 그의 머릿속에는 그 시간 전부에 대한 모든 경험이 여태까지 문지기에게 물어보지 않았던 하나의 물음으로 집약된다. 그는 문지기에게 눈짓을 한다. 그는 이제 굳어가는 몸을 더 이상 똑바로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문지기는 그에게 몸을 깊숙하게 숙일 수밖에 없다. 키 차이가 그 시골 남자에겐 매우 불리하게 벌어졌기 때문이다. "아직도 무엇을 더 알고 싶은 거요?"라고 문지기는 묻는다. "당신은 끝없이 바라는군." 시골 남자는 말한다. "모든 사람은 법을 절실히 바랍니다. 그런데 왜 지난 수년간 저 이외에 아무도 입장을 요구하지 않았습니까?" 문지기는 그 시골 사람이 이미 임종 가까이 왔음을 알고 희미해진 그의 귀에 들리도록 소리친다. "이곳에서는 당신 이외에는 아무도 입장을 허락받을 수 없다오. 왜냐하면 이 입구는 오로지 당신만을 위한 것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오. 이제 가서 문을 닫아야겠소." (번역자 미상)
'인용들·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테바 - 언어 과정 (Kristeva) (0) | 2016.04.05 |
---|---|
페터 빅셀 - [책상은 책상이다](전문) (15) | 2016.04.03 |
프로이트 [꿈의 해석]의 제사 / 베르길리우스 - [아이네이스] 중 (0) | 2016.03.29 |
쇼펜하우어 - 고통과 권태에 대하여 [세상을 보는 방법] 중 (Schaupenhauer) (0) | 2016.03.27 |
혼자 산다는 것은 (0) | 2016.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