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진보의전초기지37

Guerard. An Outpost of the Progress. Conrad the Novelist. 63-65 1958(1967) * Albert J. Guerard. Conrad the Novelist. 63-65 [게라드는 이 작품이 너무 의식적이고 지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 작품이라 우리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고 한다.] (64) a detached omniscient author with essay-like explicitness (65) 독자가 이 작품에 쉽게 공감하지 못하는 것처럼, 작가도 마찬가지. His sto.. 2018. 12. 10.
Gail Fraser. Conrad's Irony: 'An Outpost of Progress' and The Secret Agent 1986. [CII]. * Gail Fraser. Conrad's Irony: 'An Outpost of Progress' and The Secret Agent [CII] [요약] 프레이저는 전지적 화자를 사용한 이 두 작품이 아이러니의 사용(verbal irony, the use of incongruities or contrasts, and ironic parallels)을 통해 the tragic disjunction between the comfortable world of appearances and the 'madness and despair' beneath the surfac.. 2018. 12. 10.
Jakob Lothe. Conrad's Fiction as Narrative Concentration: An Outpost of Progress. 1982 (CII) *Jakob Lothe. Conrad's Fiction as Narrative Concentration: An Outpost of Progress. (CII) 이 작품에서는 작가적 화자(authorial narrator)와 등장인물 간에 큰, 그리고 지속적인 갭이 있다(165). 전지적 위치에 있는 화자는 등장인물들에 대해, 혹은 상황에 대해 '아이러니컬'하게 말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불안'을 .. 2018. 12. 10.
Brian W. Shaffer - "Rebarbarizing Civilization"(5) [정리] 새퍼의 이 논문은 [어둠] 부분을 쓸 때 다시 한 번 더 꼼꼼하게 읽고 정리해야 하겠지만, 일단 몇 가지만 핵심적으로 적어보자. 우선 새퍼는 지난번에 읽었던 "Progress and Civilization and All the Virtues"에서도 말했듯이, 콘래드의 인종주의적 측면에 대해서 대체로 우호적인 해석을 하고 있.. 2018.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