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이트정신분석69

리차드 아파냐네시, 프로이트, 박지숙, 김영사 *리차드 아파냐네시, 프로이트, 박지숙, 김영사 이 시리즈의 서적 중에서 조이스를 예전에 읽었는데, 간단하지만, 가볍게 읽으면서도 핵심적인 상황은 어느 정도 들어 있어서, 그런대로 볼만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하게 제시된 이야기들은 명료성을 부각시키지만, 그 와중에 사상되.. 2016. 12. 6.
그린버그 &미첼 -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 이론](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tic Theory) [2007년] *Jay Greenberg & Stephen Mitchell,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tic Theory,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 이론, 이재훈, 한국 심리치료 연구소 *정신분석학에 미친 말러의 가장 큰 공헌은 그녀가 아동의 욕구의 변화와 이 변화에 따른 어머니의 반응 사이의 관계를 밝혀냈다는 데 있다. 아동의 발달은 발달단계.. 2016. 12. 6.
여성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2년 넘게 진행되어 온 [프로이트 읽기]도 이제 막바지에 도달했네요. 이번 달에 읽은 페이퍼 두 개는 "여성"의 성적 발달과 관련된 것인데, 프로이트에게는 그 문제가 굉장히 어려운 것 중의 하나였던 듯합니다. 영역본 전집의 책임 편집자인 제임스 스트래치의 설명에 따르면 처음에는 잘.. 2016. 10. 30.
프로이트 [영8]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신판 6) 1905 [Jokes and Their Relation to the Unconscious]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신판 6), 임인주(080202) *그 누구도 내면적인 동의 없이는 진실을 드러내는 자동증에 압도될 수 없다. (137) --이 글은 프로이트의 중심 주제인 ‘무의식’을 우리가 비교적 가볍게 생각하는 ‘농담’이라는 문제와 관련시켜 전개한 글이다. [일상생활의 정신 병리학]에.. 2016.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