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drick Jameson - 'Romance and Reification'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Lord Jim과 Nostromo를 집중적으로 분석. 앞부분만 일단 봄.) 콘래드 작품의 분열성에 대한 지적. 이러한 분열성이 제국주의의 부면이라고 말함.
(596) In Conrad we can sense the emergence not merely of what will be contemporary modernism (itself now become a literary institution), but also, still tangibly juxataposed with it, of what will variously be called popular culture or mass culture, the commercialized cultural discourse of what, in late capitalism, is often described as a media society.
[아도르노 - The Culture Industry 읽어 볼 필요.]
이 다음 제임슨은 [로드 짐]에서 Patna에서 Patusan으로 바뀌면서 모험담처럼 바뀐 것을 지적.
(high culture - mass culture의 문제)
[이 부분은 이미 Leavis가 [위대한 전통]에서 지적한 것임. (218)]
(597) metacommentary
(598) 비평적으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음.
'콘래드, 조지프 > 박사논문(콘래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kob Lothe - Conradian narrative [The Cambridge Companion to JC] (0) | 2017.11.01 |
---|---|
Andrea White - Conrad and Imperialism [The Cambridge Companion to JC] (0) | 2017.10.23 |
원유경, 콘래드의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제국주의의 문제[왕은철 편. 조지프 콘래드(Joseph Conrad). 동인 (0) | 2017.10.19 |
시드릭 왓츠 - 콘래드 입문(Cedric Watts - A Preface to Conrad) (0) | 2017.07.28 |
콘래드를 찾아서 I (0) | 2017.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