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시 및 감상

매미 - 나 희덕

by 길철현 2016. 8. 30.

나희덕, 매미

 

그리하여 나무에서 떨어져 죽는 날까지

흙 속에 날개가, 입이 부서져

푸른 등을 땅에 대고 눕는 날까지

이 땅에 올라온 한 마리 매미가 우는 것은

짧고 단단한 목숨 때문은 아니다

 

한줄기 빛도 없는 흙 속에서

나무뿌리에 입을 대고 목청을 기른 시인,

벗겨진 허물들이 습작기의 원고로 쌓이고

음지에서 올라온 그는

남은 젖을 빨다 지친 아기처럼

마침내 나무등걸을 타고 오른다

 

그때 매미는 거칠은 나무껍질에서

부드러움을 발견하고 만 것일까

여섯 해의 긴 침묵을 견딘 자에게만 목청을 주는 세상.

신록의 이 거친 물결 위에 누워

마지막 허물을 벗기 위하여

그는 나무등걸을 오르게 된 것일까

 

매미는 목청으로 다른 매미들을 모으고

그 울음소리에 암매미떼 날아온 저녁

사랑은 짧고,

새로운 애벌레들의 행진,

그리하여 나무에서 떨어져 눕는 날에는

가장 부드러운 목청을 얻는 것이다.

    

                          [뿌리에게], 창비


(감상)매미의 일생과 그 대물림을? 존재의 신고와 탈각으로 해석하고 있는 이 시는 그 해석이 작위적인 냄새가 나는 것이 아쉽다. 이 시를 읽고 나는 다음과 같이 책에다 써놓았다. ‘시는 상상력의 힘으로 나아간다. 그 상상력이 공감을 얻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시적인 성공 여부가 달려있다. 상상력의 그럴 듯함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한국시 및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매미 - 박용래  (0) 2016.08.30
매미 4 - 조태일  (0) 2016.08.30
달팽이 - 박형준  (0) 2016.08.30
곽재구 - 큰 눈 내리는 날  (0) 2016.08.30
말라죽은 앵두나무 아래 잠자는 저 여자 - 김 언희  (0) 2016.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