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이야기/산행기, 사찰, 사당, 문학관

증평 미암리 석조관음보살입상[충북 증평군 증평읍 미륵댕이1길 13-5/송산리 산1-5](20230901) 미암리 느티나무/ 미륵사

by 길철현 2023. 9. 11.

[소개] 1998년 12월 3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증평읍 서북쪽의 미암1리 미륵사(彌勒寺) 옆에 위치한 높이 2.6m의 보살상으로 관세음보살을 형상화한 입상(立像)이다. 각 부분의 표현기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1940년 이곳에 암자를 세웠으나 1950년에 소실된 이후 마을에서 1957년에 보호각을 짓고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는데 ‘미륵댕이’라는 마을 이름도 이 보살상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정면 중앙에 화불(化佛) 1구가 조각되어 있다. 두 눈썹 사이에는 백호(白毫:불상의 미간에 있는 가늘고 긴 털)가 불거져 있고 몸체에 비해 굵은 목은 일부가 시멘트로 보강되기는 했지만 삼도(三道)라고 하는 세 줄의 주름이 선명하다.

법의(法衣:가사)는 양쪽 어깨를 모두 덮는 통견식(通肩式)인데 배꼽 아래부터는 치마인 듯 하나 선명하지 않다. 오른손은 줄기가 긴 연꽃 한 송이를 가슴 높이에서 비스듬히 받쳐 들었고 왼손은 손등을 보인 채 옆구리 아래쪽에 대고 있는 독특한 인상(印相:수인)을 취한다.

불상 앞에는 가로 57cm, 세로 123cm, 두께 12cm 규모의 배례석(拜禮石)이 놓여 있고 보호각 밖에는 수령(樹齡)이 300년이 넘는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그 밑에는 보관 위에 올렸던 보개(寶蓋)로 추정되는 6각형의 석재가 파손된 상태로 놓여 있다가 1993년에 도난당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증평 미암리 석조관음보살입상 [曾坪 彌巖里 石造觀音菩薩立像]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탐방기] 청주에서 이날의 목적지인 충주로 가는 길에 이 불상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보여 가보았다. 길이 불분명한 가운데 불상 옆에 있는 미륵사라는 절이 먼저 눈에 들어왔고, 또 불상 바로 옆에 자리한 3백 년이라고 하기에는 더욱 거대한 느티나무에 눈이 갔다. 불상은 불상이라는 느낌보다는 문인석의 느낌이 났고, 세월의 흔적으로 많이 마모되어 예술적인 느낌을 받기가 쉽지 않았다.

청주대학교 정문
이곳에서 소변을 좀 보고 그늘이 있으면 잠을 좀 청하려 했으나 그럴 만한 곳이 없었다.
청주 우체국 옆에 위치한 충청병영
석우문화체육관
왜 찍었을까? 기억이 아삼삼하다가 떠올랐다. 잡풀 너머로 보이는 집 옆 공터에서 오수를 즐김. 이 동네 길에서 길을 찾으려다 좀 고생을 함. 내비에는 길이 있는 걸로 나왔지만 차로 통행 불가. 36번 국도에서 벗어나 잠을 자러 들어갔던 것인데 정확한 위치는 모르겠다. 증평 들어가기전 금대리 쯤인 것 같기도 하고. 시간이 13분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봐서 은곡리 정도일 듯도 하다. 패스.

[미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