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해발고도 1,016m의 금수산 자락 신선봉 능선에 있는 사찰로, 662년(신라 문무왕 2)에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 대한불교 조계종 속리산 법주사의 말사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산방사로 소개되어 있으며, 의상이 도를 얻은 후 절을 짓기 위하여 지팡이를 던지자 이곳에 날아가 꽂혀서 절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 사전(寺傳)에 1825년 지금의 불당을 보수했다는 기록도 있다. 경내에는 법당과 요사, 현혜문 등이 있는데, 1825년에 세워진 법당은 12칸, 요사는 5칸 규모의 목조 기와집이다. 현혜문은 절의 정문으로 일주문이라고도 하고, 1칸 규모의 목조문이다. 법당 안에는 주존불인 높이 60cm, 어깨 너비 30cm의 관음보살상이 있으며, 불상 뒤로 후불탱화가 그려져 있다. 최근 법당 안에 신중탱화, 산신탱화, 독성탱화 등을 그려 넣었다. 법당 뒤에는 의상대라는 웅장한 암벽이 있는데, 그 크기가 법당의 3분의 1을 뒤덮을 정도다. 법당 앞에 서면 청풍호의 절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주변에 금수산, 능강계곡, 신선봉, 청풍호반, 청풍문화재단지가 있다. 찾아가는 길이 까다로운데 옥순봉로 능강교에서 산길을 따라 약 2.3km를 올라가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방사 [淨芳寺]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탐방기] 탁신 정기모임에 참석차 서울로 올라가는 길에 잠시 들렀다(웬일인지 나는 카메라를 놔두고 와서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었다). 더위가 한풀 꺾이면 올해 가을은 충주호를 중심으로 탐방할 생각인데(탐방 계획을 좀 세워야 하지 않을까?), 누군가 정방사에서 드론으로 찍은 사진들이 멋있어서 이곳을 한 번 찾아가 봐야겠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원래 계획은 수양개유적로를 따라 달리며 호수를 조망할 생각이었으나 후배와의 약속 시간도 있고 해서 북단양IC에서 나와 532번 지방도 학현소야로를 탔다. 이곳을 지난 적이 있는지 없는지는 불분명한데 고갯길을 올랐다가 내려와야 했다. 중간에 옥순봉로14길로 빠졌다가 뷰가 좋아 한 번 숙박하고 싶은 '클럽이에스제천리조트'를 지나자 정방사로 올라가는 산길이 나왔다.
가파른 길을 한 2,3킬로 올라가자(산속으로 자꾸 들어가는 것이 아무래도 충주호가 보일 듯하지 않아 괜히 온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차량통행금지를 알리는 안내판이 있어서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절로 향했다. 과도한 운동량으로 지친 다리가 가파른 오르막에 신음소리를 내고 그렇게 2백여 미터를 올라가자 절로 올라가는 돌계단이 나왔다(지난번 단양신라적성비를 찾았을 때는 무작정 차를 몰고 들어갔다 낭패를 보기도 했지만, 일단은 돌려 나온다고 생각하고 차로 올라갈 수 있는 데까지는 올라가는 것이 나을 듯). 계단 입구에는 차가 두 대 세워져 있었고, 그 옆에 차를 세울 여유 공간이 없지 않았다.
절은 의상대라는 큰 바위를 병품 삼아 터를 고르고 절을 지었기 때문에 아담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 의상대의 규모나 형태가 나를 놀라게 했고, 거기다 산 봉우리 너머로 저 멀리 충주호(청풍호)가 거짓말처럼 푸르른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서 속으로 감탄사를 연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날이 좀 더 맑았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있었으나 다음을 기약하며 절을 좀 더 둘러보고 산을 내려왔다.
'여행 이야기 > 산행기, 사찰, 사당, 문학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인사[대구 동구 팔공산로 967-28/신무동 356-1](20230929) (3) | 2023.10.03 |
---|---|
증평 미암리 석조관음보살입상[충북 증평군 증평읍 미륵댕이1길 13-5/송산리 산1-5](20230901) 미암리 느티나무/ 미륵사 (0) | 2023.09.11 |
북지장사[대구 동구 도장길 243/ 도학동 620](20230805) (2) | 2023.08.07 |
녹동서원[대구 달성군 가창면 우록길 218/ 우록리 585-1](20230701) 달성한일우호관/김충선 묘 (0) | 2023.07.30 |
남지장사[대구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길 95](20230701) 청련암, 백련암 (2)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