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현, 이성과 언어, 문지 (100905)
<감상>
많은 부분, 심지어 우리의 사고방식에 있어서까지 서구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는 것은 그렇게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그러나, 서구의 방법론이 학문의 모든 방법론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면, 그 좋은 점은 빨리 섭취하고, 우리 사유의 독특한 측면을 찾아보거나 부각시키는 방편을 택해야 할 것이다.
이명현은 분석철학, 그 중에서도 비트겐시타인의 영향력 아래서 글을 전개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저자가 머리말에서 밝힌 것처럼, 개괄적인 이야기이기는 하나, 분석철학의 윤곽선을 좀 더 뚜렷하게 그리는 데에는 도움이 되었다. 분석철학적 사고에 따르자면 현대에서 철학을 한다는 것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라고 한 마디로 요약할 수 있을 듯하다. 그것은 돌이켜서 말하자면 인간이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 그 동안 좀 더 반성적인 성찰을 하지 못했다는 증표라고도 할 수 있다.
내 학문적 공부의 방향은 현재, 문학을 제외한다면, 프로이트와 라캉이라는 한 측면과 비트겐슈타인이라는 다른 한 측면을 지향하고 있다. 해야 할 것이 많음에도,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게으름에 자꾸 굴복하고 있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책을 읽는 작업이 그래도 좀 수월해지지 않았나 하는 자위를 해본다.)
1. 분석철학과 언어
A) 분석철학의 정신
-철학: 언어에 대한 논리적 분석 작업(16)
B) 현대분석철학과 언어
*비엔나--논리실증주의/ 프랑크프루트 학파--마르쿠제, 하버마스
C)이론분석과 철학
-비트겐시타인: 전통적 철학의 이론은 언어의 마술에 현혹되어 산출된 가공적 구성물이다. (27)
-언어 그림 이론, 외연성론(extensionality) (31)
-언어가 사실 세계를 반영하는 그림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언어와 사실세계는 그 논리적 형식에 있어서 동일해야 한다. (31)
-촘스키: 모든 언어에 보편적인 구조가 있다. 이 보편적인 구조는 인간의 심성 속에 선천적으로 주어져 있다. (35)
D) 언어와 철학
E) 언어와 사고 그리고 존재세계
-특수성은 문화적 제약 조건의 차이로, 보편성은 생물학적 종으로서의 공통성으로 그 발생 근거를 나는 설명하려 한다. (67)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이란 근본적으로 인간의 삶의 조건에 묶여 있다. (69)
F) 비트겐시타인 : 그의 삶과 사상
-사적 언어의 불가능성. (87)
G) 분석철학의 빛과 그늘
II. 과학의 논리
A) 사회과학의 방법론
-이성: 지식을 파악하는 힘. (100)
-인간은 그 자신과 사회에 관하여 여러 가지 시각에서 인식적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의도*의미*원인의 시각을 주어진 대상의 성질에 따라 바꾸어 가며 다른 인식적 관심을 가진다.
(의도-목적론적 설명 방법, 의미-이해, 원인--인과적 설명 방법) (118)
B) 통합과학의 이념과 학문방법론의 문제
C) 사회과학에 있어서의 특수성과 보편성
*가치와 가치 현상의 구별 (159)
D) 민족, 역사 그리고 지성
III. 오늘의 철학과 한국
A) 현대미국철학
-어떤 사실을 사실로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개념적 틀을 배경으로 해서만 가능하다고 반환원주의자들은 파악한다. (198)
-형태 교체 gestalt shift
-정의: 자유 우선성의 원칙, 차등의 원칙 (114) 존 롤즈
B) 콰인의 원초적 번역의 불확정성론
C) 이성과 사회정의
-롤즈의 정의론: 공리주의의 극복.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원리로 삼는 공리주의 사회 철학은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회의 최소 수혜자들의 불평등한 위치를 변호해 줄 이론적 장치를 결여하고 있음. (239)
D) 오늘에 새김질해 보는 칸트의 유산
E) 산업 사회와 비판적 지성
-인간의 인식 능력의 한계 (257)
F) 한국철학의 전통과 과제
'철학으로 > 언어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루야마 게이자부로 - 존재와 언어 (0) | 2016.09.20 |
---|---|
이명현 - 언어와 철학 (0) | 2016.09.20 |
이규호. 말의 힘 (0) | 2016.09.20 |
윌리엄 P. 올스튼, 언어철학 (William P. Alston, Philosophy of Language) (0) | 2016.09.20 |
소쉬르 - 일반 언어학 강의 (Saussure) (0) | 2016.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