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래드, 조지프/어둠의 심연70 Robert S. Baker. Watt's Conrad. [N3] 1981 [이언 와트의 논문에 대해서 상당히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이 논문은, 비판을 넘어서서 뭔가 새로운 대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는 듯하지는 않다.] (337) The nub of the issue is Watt's simplistic notion that the text is accessible to something called "the literal imagination," a meaningless term that simply cloakes .. 2018. 5. 23. Ian Watt. Heart of Darkness. [Conrad in the Nineteenth Century]. California UP[N3, 4, 5]. 1979[81]. [정리] The Rise of the Novel로 유명한 이언 와트의 이 책은 작가의 간단한 전기와 함께, 작품 분석을 겸하고 있다. 그 중에서 먼저 HD와 관련된 부분을 읽었다. 먼저 와트가 주목하고 있는 시대적 배경에는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부분들이 많이 들어 있어서 논문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 2018. 5. 10. Apocalypse Now & Heart of Darkness [지옥의 묵시록과 어둠의 심연] 1979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지옥의 묵시록]이 출시되었다. 베트남 전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큰 얼개나 주제 의식에 있어서 콘래드의 소설 [어둠의 심연]에 빚진 부분이 있어서, 장르가 다른 두 작품을 비교*분석하는 것이 하나의 유행이 되었다. * Mike Wilmington, Worth the Wait: Apocal.. 2018. 4. 18. C. P. Sarvan. Racism and the Heart of Darkness. 1980. N3 아체베의 글은 콘래드의 이 작품을 보는 시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싱과 이 글의 필자인 사반(Sarvan)의 논문에서도 드러나듯이 이 작품의 식민주의와 인종주의가 작품을 보는 주 관점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을 뿐 아니라, 한쪽에서는 이 작품을 식민주의와 인종주의에 편승하는 작품으로.. 2018. 4. 5.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