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래드, 조지프/콘래드아프리카제국67 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 - 전체주의의 기원 2. 이진우・ 박미애. 한길사 (1973) [1951] 11 [감상] 이 책 또한 논문 작업에 필요해서 집어든 책이다. 어떤 평론가가 콘래드의 [진보의 전초기지]에 나오는 두 인물, 카이어츠와 칼리에를 '폭민의 일종'으로 본 내용이 있었고, 그게 논문을 쓰는데 도움이 될 듯했기 때문이다(아렌트 자신은 [어둠의 심연]에 나오는 커츠를 폭민과 연결시키고 있다). 책이 워낙 방대하여 일부만 읽을까하다가, 3부로 된 이 책 중 2부가 제국주의 편이라, 논문과의 관련성이 더욱 커 보였고, 그래서 과감하게? 처음부터 읽어나갔는데, 40일 정도만에(18년 12월 17일에 시작) 읽고, 정리하는 걸 마쳤고(읽고 난 뒤에 몇 달이 지나서야 겨우 정리를 하는 악습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듯),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감상을 적고 있다. (중간중간에 따분하고 다소 난해하고, 세부적.. 2025. 2. 14. 매리 하이듀즈. 동남아의 역사와 문화. 박장식*김동엽 공역. 솔과학 준비 중. 2019. 10. 22. 이원복 글*그림 - 가로세로 세계사/ 동남아시아2. 김영사 동남아시아의 국가들, 미얀마, 태국(타이),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동티모르의 역사와 현재를 이원복 특유의 핵심을 포착하는 명쾌한 필체로 보여준 교양 만화. 이 나라들은 우리가 일본의 식민지배를 받은 것처럼, 고대부터 지.. 2019. 10. 18. 박상기 - 콘래드의 양가적 제국주의 비판 265) 19세기의 세기말적 시대상황에서 생긴 '역설의 정서' 때문에 당시의 제국주의에 대해 '양가적' 태도를 취한다 - 유럽 문명에 대한 환멸로 인해 선택이 불가능한 세기말적 시대상황에서 콘래드가 인종주의자가 될 수 없었음. 1. 아체베의 콘래드 비판 266) 아체베 : 콘래드는 "영국의 자유.. 2019. 8. 11. 이전 1 2 3 4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