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래드, 조지프/콘래드아프리카제국67 [제국주의] 박지향 -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서울대 - 20세기 초 36년간 일본의 식민지 생활을 경험했고, 또 약소국으로 강대국들의 침략에 숱한 피해를 당했던 우리에게는 '제국주의'라는 말은 이 책의 저자인 박지향이 머리말에서 하고 있듯이 '정치적 종속과 경제적 착취'라는 부정적인 의미가 먼저 다가온다. 박사 논문과 관련해서 집어 .. 2017. 12. 10. 레오폴드(Leopold) 2세의 편지. LETTER FROM THE KING OF THE BELGIANS[The Land of the Pigmies] [레오폴드 2세의 편지와 키플링의 "백인의 부담"이라는 시의 논조는 거의 흡사하다. 야만적이고 문명화되지 않는 비유럽인들을 백인들이 부모와 같은 마음으로 온갖 어려움과 장애를 이겨내고 좀 더 나은 삶을 살도록 교화시키고 문명화시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빠진 한 가지.. 2017. 11. 20. [제국주의] J. A. 홉슨. 제국주의론. 창비. [1902] * J. A. 홉슨. 제국주의론. 신홍범, 김종철 옮김. 창비 [서평] [책 자체가 생각했던 것처럼 만만하지도 않고 번역도 그렇게 잘 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워 - 차라리 원문을 읽는 것이 나았을 지도 모르겠다 - 다 읽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학위 논문의 주제와도 관련이 있고, 또 19세기 말 유.. 2017. 11. 15. 이전 1 ···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