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

조지프 콘래드 - 삶의 기록과 편지들(Joseph Conrad - Notes on Life and Letters) Doubleday, Page & Company. 1921(24)

by 길철현 2017. 7. 4.


* An Observer in Malay

[Hugh Clifford  - Studies in Brown Humanity]

(58) To the Malays whom he governs, instructs, and guides he is the embodiment of the intentions, of the conscience and might of his race. And of all the nations conquering distant territories in the name of the most excellent intentions, England alone sends out men who, with such a transparent sincerity of feeling, can speak, as Mr. Clifford does, of the place of toil and exile as " the land which is very dear to me, where the best years of my life have been spent" -

[영국 제국주의를 높이 평가하는 부분]


* Autocracy and War (1905)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를 거둔 것을 보면서 러시아에 대한 콘래드의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글이다.


(91) 러일전쟁의 패배로 러시아가 사라졌음을 강조

- It has vanished for ever at last, and as yet there is no new Russia to take the place of that ill-omened creation, which, being a fantasy of a madman's brain, could in reality be nothing else than a figure out of a nightmare seated upon a monument of feat and oppression.


(92) Spectral it lived and spectral it disappears without leaving a memory of a single generous deed, of a single service rendered--even involuntarily--to the polity of nations.


(97) But under the shadow of Russian autocracy nothing could grow. Russian autocracy succeeded to nothing; it had no historical past, and it cannot hope for a historical future. It can only end.


러시아가 유럽 제 국가에 비해서 정치적으로 전제성이 강했다고 하더라도, 콘래드의 위와 같은 강력한 비난들은 그의 개인적인 적대감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런 점은 러시아나 일본이나 다 같이 제국주의적 팽창을 지향하고 있던 시점에서 일본을 두둔하고 있는 부분을 보아도 그렇다.


(87) The Japanese: the inner gentleness of their character stands them in good stead.

[콘래드가 일본을 좋게 평가하고 있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적대감의 반대급부라고 볼 수도 있지만, 이후의 일본의 행적이나 동아시아의 정세 등에 대해서 잘 몰랐기 때문일 수도 있다.]

(88) 러시아 군대와 일본 군대의 정신적 상태

- the one forlorn and dazed on being driven out from an abyss of mental darkness into the red light of a conflagration

- the other with a full knowledge of its past and its future, "finding itself" as it were at every step of the trying war before the eyes of an astonished world.


글의 후반부에서는 유럽의 정치적 상황이 전쟁으로 치닫고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특히 독일의 세력 성장과 군국주의를 비판하는데 할애한다.


[이 글이 어느 정도의 객관성을 지니고 있는지는 상당히 의심스럽다. 조국인 폴란드를 분할한 러시아와 독일에 대한 비난은 이해할 만하지만 서 유럽이라고 해서 당시의 군국주의나 팽창주의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것도 사실인데.]



[인용]

(86) For a hundred years the ghost of Russian might, overshadowin with its fantastic bulk the councils of Central and Western Europe, sat upon the gravestone of autocracy, cutting off from air, from light, from all knowledge of themselves and of the world, the buried millions of Russian people.

(87) The Japanese: the inner gentleness of their character stands them in good stead.

[콘래드가 일본을 좋게 평가하고 있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적대감의 반대급부라고 볼 수도 있지만, 이후의 일본의 행적이나 동아시아의 정세 등에 대해서 잘 몰랐기 때문일 수도 있다.]

(88) 러시아 군대와 일본 군대의 정신적 상태

- the one forlorn and dazed on being driven out from an abyss of mental darkness into the red light of a conflagration

- the other with a full knowledge of its past and its future, "finding itself" as it were at every step of the trying war before the eyes of an astonished world.

[비유럽권 국가가 유럽 국가를 전쟁에서 이긴 최최의 예라는 점에서 노일전쟁의 한 의미를 찾을 수 있는가?]

(89) souless autocracy

(91) 러일전쟁의 패배로 러시아가 사라졌음을 강조

- It has vanished for ever at last, and as yet there is no new Russia to take the place of that ill-omened creation, which, being a fantasy of a madman's brain, could in reality be nothing else than a figure out of a nightmare seated upon a monument of feat and oppression.

(92) Spectral it lived and spectral it disappears without leaving a memory of a single generous deed, of a single service rendered--even involuntarily--to the polity of nations.

(96) blind absolutism

(97) But under the shadow of Russian autocracy nothing could grow. Russian autocracy succeeded to nothing; it had no historical past, and it cannot hope for a historical future. It can only end.

- It lies outside the stream of progress. This despotism has been utterly un-European.

(98) 러시아의 독재주의(despotism)는 유럽적인 것도 아시아적인 것도 아님.

(99) The worst crime against humanity of that system.

[이 말은 콘래드가 즐겨쓰는 말이다.]

(100) She is not a Neant, she is and has been simply the negation of everything worth living for.

(107) And democracy

- 당시 국제 정세의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

(108) The intellectual stage of mankind being as yet in its infancy, and States, like most individuals, having but a feeble and imperfect consciousness of the worth and force of the inner life, the need of making their existence manifest to themselves is determined in the direction of physical activity.





*  The Crime of Partition (1919)

일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난 뒤 조국인 폴란드가 독립을 한 것을 보면서, 콘래드는 3국 분할의 부당성을 다사 한 번 강조하고, 프러시아와 러시아 정권의 전제성(autocracy)을 비판한다. 그리고 폴란드 국민이 평화를 사랑하는 국민이어서 침략 전쟁을 한 적이 없으며 리투아니아와의 통합도 평화롭게 이루어졌음을 강조한다. 이 글에서도 콘래드는 [A Note on the Polish Problem]에서와 마찬가지로 폴란드가 서부 유럽의 전통에 속한다는 말로 끝을 맺는다.


(115) 3국 분할에 대한 서유럽의 비난

- As to Russia, the third party to the crime, and the originator of the scheme, she had no national conscience at the time.

- 러시아의 인식 : by the annexation of the greater part of the Polish Republic, Russia approached nearer to the comity of civilised nations and ceased, at least territorially, to be an Asiatci Power.

(116) Austria did not really want an extension of territory at the cost of Poland.

(117) Austria had to follow their[프러시아, 러시아] lead in the destruction of a State which she would have preferred to preserve as a possible ally against Prussian and Russian ambitions.

- 18세기 후반 프랑스와 폴란드가 유럽 대륙에서 자유로운 사상의 중심지.

(118)  "Progress," Conrad writes in this essay, "leaves its dead by the way, for progress is only a great adventure[,] as its leaders and chiefs know very well in their hearts. It is a march into an undis covered country; and in such an enterprise the victims do not count" (118). 

(119) 폴란드가 평화를 사랑하는 국민이라는 것을 강조

- The spirit of aggressiveness was absolutely forign to the Polish temperament.

(120) Lithuanian and Ruthenian province와의 통합은 평화로운 과정.

(126) there is nothing on earth that turns quicker on its pivot than political idealism when touched by the breath of practical politics.

[콘래드의 보수적인 정치 성향을 잘 드러내는 발언. 이상이라는 것이 항상 현실 앞에서 무릎을 꿇게 되고 맘] 

(129)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olish nation which has proved its vitality against the most demoralizing odds.

(131) The Crime of the Partition was committed by autocratic Governments which were the Governments of their time; but those Governments were characterised in the past, as they will be in the future, by their peoples' national traits, which remain utterly incompatible with the Polish mentality and Polish sentiment.

(133) the offspring of the West

[서부 유럽의 일원으로 폴란드를 보고 있음.]




 

* A Note on the Polish Problem(1916)

일차 세계 대전 중에 전쟁 후 조국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쓴 글. 콘래드는 폴란드가 연합국인 프랑스, 영국 등과 친근성을 지니고 있으며, 폴란드의 이상도 서구의 그것과 일치한다고 말하고 있다. 연합국이 승리한다는 가정하에 폴란드가 프랑스, 영국, 러시아의 보호 아래 신생 독립국으로 탄생할 것을 바라고 있다.



(134) 삼국 분할에 대한 생각.

(135) 식민지 하의 폴란드, 특히 1830년 이후(1831년의 봉기를 가르키는 듯) 폴란드는 서구 강국에 믿음을 둠. (moral support)

(---) 폴란드는 슬라브 국가가 아니라, 서구적.

In temperament, in feeling, in mind, and even in unreason, they are Western.

[폴란드가 슬라브 국가가 아니라 서구적인 국가라는 콘라드의 주장은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

(138) An Anglo-French protectorate would be the ideal form of moral and material support.


* Poland Revisited(1915)

이 글은 콘래드가 가족을 동반하여 몇십 년(?)만에 폴란드를 다시 방문하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오도가도 못할 뻔했던 경험을 적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외에도 영국의 런던(리버풀 스트릿)에 처음 발을 내디뎠을 때의 고독감이나 낯설음, 또 선원의 자리를 알아보았던 일, 그리고 당시 오스트리아의 식민지였던 크라코프(Cracow)를 재방문 했을 때의 경험과 어린 시절 죽어가는 아버지와 함께 있으면서 느꼈던 감정, 아버지의 장례식 장면 등도 회상한다. 콘래드는 폴란드의 휴양지에서 2개월간 꼼짝하지 못하고 있다가, 빈에서 이탈리아를 경유하여 영국으로 돌아왔다.


죽어가는 아버지와 함께 했던 나날들에 대한 콘래드의 회상은 어린 시절의 콘래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록이다.  


(145) Cracow : 콘래드가 아버지의 마지막 18개월을 함께 보낸 곳. the town where I spent with my father the last 18 months of his life.

(150) No explorer could have been more lonely. (영국의 런던에 처음 도착했을 때의 느낌.

Straight from a railway carriage I had walked into the great city with something of the feeling of a traveller penetrating into a vast and unexplored wilderness. No explorer could have been more lonely. I did not know a single soul of all these millions that all around me peopled the mysterious distances of the streets.

(162) 기술의 진보에 대해서 비판적인 생각. 보수적인 면.

(168) 죽어가는 아버지 옆에서 겪어야 했던 정신적 고통을 독서를 통해 이겨냄. I don't know what would have become of me if I had not been a reading boy.

(169) I don't think I found a single tear to shed. 아버지의 장례식. 식민지의 백성들의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