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드릭은 이 글에서 콘래드의 기법 내지는 소설의 독창성을 칭찬하면서도, 특히 장면의 세부적이고도 감각적이면서 현실적인 묘사 등을 통해 상징으로 나아가는 부분에서의 장점을 이야기하면서도 이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악의 문제가 콘래드의 상상력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면이 있지 않았나 하는 이야기도 동시에 하고 있다.
[인용]
(207) Henry James. a votary of the way to do a thing that shall make it undergo most doing [Notes on Novelists]
--, 콘래드는 긴 단편, 혹은 짧은 장편에서 좀 더 집중력을 발휘
(208) Zabel : the plight of the man on whom life closes down inexorably, divesting him of the supports and illusory protection of friendship, social privlildge, or love.
--, double-plot, 감각적이고 현실적인 묘사를 통해 상징으로 이어짐.
(210) The sense of evil he must somehow project exceeds his capacity for imagining it; he strains into badness while reaching for verifications of a great and somber theme that is beyond his own very considerable powers.
'콘래드, 조지프 > 어둠의 심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o Gurko. Conrad's Ecological Art. 1962. N1 (0) | 2018.03.22 |
---|---|
Steward C. Wilcox. Conrad's "Complicated Presentations" of Symbolic Imagery. 1960. N1 (0) | 2018.03.22 |
Critical Debate : The Structure of the Descent into the Self [N1] (0) | 2018.03.17 |
Robert O. Evans. Conrad's Underworld. 1956 [N1] (0) | 2018.03.17 |
Lilian Feder. Marlow's Descent Into Hell. 1955. [N1] (0) | 2018.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