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으로/언어철학16

언어의 문제, 내 생각 런던 아저씨가 제기한 문제나 찜찜함이 정확히 이해되지 않을 뿐더러, 동의하기도 어려운 면이 있지만, 그래도 평소에 관심을 가져온 언어 철학의 문제와 연결되는 듯하여, 몇 자 적어볼까 합니다. 먼저 '언어와 대상 사이의 그 해결되지 않은 거리'라는 말에서 시작을 해볼까 합니다. 언.. 2016. 10. 9.
루소 -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장 자크 루소.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1781년. 주경복. 고봉만. 책세상 (130707) 인간 언어 기원론. 이봉일. 월인 - 파리 언어학회 (1886년) “본 회는 언어의 기원에 관한 어떤 논의도 수용하지 않는다.” <해제> - 인간은 말을 할 때에 감정을 전달하고 글을 쓸 때에는 사상을 전달한다. (본.. 2016. 9. 20.
요한 고트프리트 폰 헤르더 -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요한 고트프리트 폰 헤르더.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1770년. 조경식. 한길사(130707) - 거인의 어깨 위에 있는 난쟁이는 거인 자신보다 항상 키가 크지 않은가? (173) 헤르더의 이 책이 갖는 중요성은 - 앞으로 훔볼트를 공부하면 좀 더 드러날 듯하나, 현재로서는 ‘이성을 갖춘 인간이 언어를 .. 2016. 9. 20.
김우창 - 스티븐스의 언어론 [Kim Uchang - Stevens on Language] *김우창(Kim Uchang) - "Stevens on Language" ([현대영미시연구] 130707/140511 김우창의 글은 많이 읽으면 답답하지만, 가끔씩 읽을 때면 삶이 온통 혼동은 아닐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 이 글은 ‘철학적인 시’를 쓴 것으로 유명한 Wallace Stevens의 시에 드러난 그의 언어 철학을 메를로-퐁티와 연관을 .. 2016.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