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어둠의 심연70

Jerome Thale. The Narrator as Hero. 1957 [컴퓨터] 테일의 이 글은 이 작품과 [위대한 개츠비]의 공통점을 상술하고 있다. 두 작품 다 일종의 성장 소설로서 소설 속에서 다루고 있는 주된 인물과 그 인물을 관찰하는 인물로 된 소설인데 이것은 "이중적 주인공, 아니면 주인공의 분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을 성장 소설로 볼 수 있.. 2018. 3. 16.
Jerome Thale. Marlow's Quest. 1955 [N1] 제롬 테일의 이 글은 [암흑의 핵심]이 모험소설의 전통, 그 중에서도 성배를 추구하는 류에 속하는 작품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는 이 당시 유행하던 사르트류 등의 실존주의 철학에서 강조하던 '자유로운 존재로서의 인간'을 이 작품의 핵심 주제로 보고, 말로가 커츠에 사로잡히는 이유.. 2018. 3. 16.
Alan M. Hollingworth. Freud, Conrad and the Future of an Illusion. [N1] 프로이트와 콘래드의 공통점, 즉 사회의 병폐(ills)에 관심이 많은 것과 또 기독교에 대한 비판 등을 이야기 하면서, 커츠가 결국 파괴될 수밖에 없었는 이유를 밝혀보려 한 글. 뒷부분은 잘 기억이 나지 않고 그다지 중요해 보이지도 않는다. [인용] (176) the ills of our society (177) 문명은 본능(.. 2018. 3. 15.
Robert F. Haugh. Heart of Darkness: Problem for Critics [N1](N2, N3에도 실림) 하우의 이 글은 이 전의 비평들의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말로가 커츠에 이끌린 것이 커츠의 위대함- 그것을 어두운 면으로의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것이기는 하지만-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이 부분은 말로가 커츠에 대해 '이 삶에 대해 뭔가 말할 것이 있었다'라는 것과 .. 2018.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