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래드, 조지프/콘래드아프리카제국

Daniel M. Mengara. Ed. Images of Africa. Africa World Press, Inc.

by 길철현 2019. 1. 9.

[인용]


- Introduction. White Eyes, Dark Reflections

[정리]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아프리카의 이미지는 "유럽인들의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유럽인들은 자신들의 식민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럽인들이 아프리카를 열등하고, 야만적인 사람들이 사는 대륙으로 만들었다는 것이 핵심적인 내용이다. 식민 지배 체제에 대한 정당한 분노를 담고 있지만 필자의 논지는 단순한 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Curtin[The Image of Africa]이나 Brantlinger가 "Dark Continent"의 개념이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는데 반해 필자는 유럽이 접촉 초기부터 아프리카를 그런 식으로 봐왔다고 주장한다.


2) 18, 19세기 이전에는 아프리카 내륙 지역에 대해 알려진 것이 별로 없음 -- 유럽과의 접촉 이후 no part of Africa unstirred.

- 17세기 무렵 - 거의 모든 아프리카의 배후지역은 외부 세계와 직간접적인 접촉이 있었음.

- the invention of Africa : the systemic manufacturing of a continent on the basis of the African paradigms of superiority versus inferiority, civilized versus uncivilized, among other epithets.

3) 식민화 과정이 유럽인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먼저 정당화되어야 함.

- in order for the colonial process to appear acceptable to the European mind, it had to be justified. Such a justification could be validated only if the lands to be conquered  and the peoples who inhabited them were expropriated of their own identities and constructed in the western mind as objects of devastation, ignorance and primitivism that needed to be saved by the West.

- 15세기부터 포르투갈을 필두로 아프리카의 식민화 시작.

[아프리카의 야만성을 강조하는 것은 그래도 19세기에 그 정점을 이루지 않았던가?]

[필자의 논리는 다소 단순하다. 식민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럽인들이 아프리카를 열등하고, 야만적인 사람들이 사는 대륙으로 만들었다는 것. 정설이긴 하지만 논조가 단순하다.] 

4) Cecil Rhodes - a Roman emperor

5) I contend that we are the finest race in the world that the more of the world we inhabit the better it is for the human race . . . Africa is still lying ready for us--it is our duty to take it!

- the various "discoveries" of peoples, lands, mountains and rivers were presented by the various explorers as happening for the first time thanks to them and owing to their  unfaltering courage.

- 탐험가들은 원주민들의 도움을 받아 탐험. 그들의 지식은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음.

- 계몽주의 시기 역시 식민화나 노예 무역에 기초한 제국주의와 뗄 수 없음.

6) 유럽인이 제시하는 아프리카 인의 특징과 그 이유.

7) 신명기에 보이는 제국주의적 내용.

- 다른 나라 땅에 들어갈 때 그 민족들을 몰아내고, 패퇴시키고, 죽이라는 내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 나오는 정복을 종용하는 듯한 내용. 남성 중심주의.

- By ruling the inferior, and by imposing on them the rule of "civilization," the strong are saving the "uncivilized" from extinction and self-destruction.

8) 오늘 날 우리가 아는 아프리카는 유럽이 만들어 낸 것.

9) [This] perpetuation of historical fallacies inevitably poses a serious threat to Africa's ability to redefine itself, because little that is "known" about Africa today originates from Africans themselves.

- Menara & Larson: 서구는 민주주의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아프리카로부터 "훔침"

10) 아프리카 곳곳에서 일어나는 내전은 유럽 국가들이 국경을 제멋대로 그은 것과 밀접한 연관.

11) 아프리카와 유럽 문화의 만남으로 "사생아적 문화" a bastardized culture 생성됨.

16) 아프리카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t]here was nothing to discover, we were here all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