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으로158

서양근대철학회 엮음. [서양근대철학]. 창비, 2001. (6) 2. 로크 - 정영교*하종호 2) 인식론 213) 로크는 인간이 우주의 궁극적 실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지식을 가질 수 있다고 본 선대의 철학자들이 오류를 범했다고 평가하면서 과연 그러한 지식이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214) 본유주의자 :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학습할 수 없는 진리들을.. 2019. 1. 18.
서양근대철학회 엮음. [서양근대철학]. 창비, 2001. (5) 4. 라이프니츠 - 김국태*배선복*윤선구 2) 방법론과 인식론 162) 언어가 알파벳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듯 인간의 모든 사고도 기계적인 원리로 환원될 수 있다고 생각. 163) 아리스토텔레스의 역동적이고 목적론적인 관점들을 . . . 핵심사상으로 계승. '이유가 없이는 아무것도 생긱지 않는다'.. 2019. 1. 18.
서양근대철학회 엮음. [서양근대철학]. 창비, 2001. (4) 2. 말브랑슈 - 탁석산 1) 생애와 저작 (118) 말브랑슈 - 믿음의 문제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나 교부들이 믿었던 바를 발견하는 것은 잘못이 아니다. 더욱이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선배들이 믿은 것을 믿었는가의 여부를 발견하는 것도 잘못이 아니다. 왜냐하면 믿음은 오직 전통을 통.. 2019. 1. 17.
서양근대철학회 엮음. [서양근대철학]. 창비, 2001. (3) 2부 대륙 합리론 들어가며 (89) 경험론자들은 여러가지 견해차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대상인식에 있어 감각경험의 역할을 강조하는 데 비해, 합리론자들은 선험적 진리와 그것을 인식하는 이성의 역할을 강조한다. (90) 경험론은 존재론을 포함한 형이상학의 가능성 자체를 부정하기에.. 2019.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