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158 플라톤 - 테아이테토스 [Plato - Theaetetus] 인식론(epistemology)은 철학의 제 분야 중에서도 특히 나의 흥미를 끄는 부분이다. 그래서 일 년 반 쯤 전에 박이문의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존재와 인식’이라는 글을 써보기도 했다. 플라톤의 후기 저작을 대표하는 글 중 하나인 이 [테아에테토스]는 이 인식론을 (콘포드의 말을 빌자면, How can I know that I know? How can I recognise knowledge when I have it and be sure that it is knowledge?(140)) 심도 있게 다룬 것으로, 콘포드의 원문 및 해설판으로 흥미롭게 읽었다. (나의 영어 능력, 지적 능력, 공들임, 이 모든 것이 시험대에 올라갔고,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좀더 노력하겠다는 것이었다. 또 체계.. 2016. 9. 16. 플라톤 - 향연 [Plato - Symposium] <Symposium> **It is agreed that the Symposium is one of Plato's two greatest dialogues, either greater than the Republic or next to it. Of all of them it tells the most vivid story and it gives the most arresting and the most detailed portrait of Socrates. Also it contains the loftiest expression of Plato's inmost conviction that it is the things not seen which are etern.. 2016. 9. 16. 플라톤 - 파에드로스 [Plato - Phaedrus] <Phaedrus> 이 대화편은 소크라테스와 파에드러(로)스가 나무 그늘 아래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그 중심 내용은 ‘사랑’과 ‘수사’에 관한 것이다. (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뒷받침 되지 않아서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플라톤은 육체적 쾌락으로서의 사랑보다는, 미.. 2016. 9. 16. 플라톤 - 에우티데모스 [Plato - Euthydemus] <Euthydemus> 플라톤이 이 글에서 노리는 효과는 언어의 다면성, 그리고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의 어려움 등일 것이다. 그와 동시에 그러한 언어의 다면성, 다층성을 일방적으로 몰고 나가는 Euthydemus와 Dionysodorus를 비꼬고 있다. *Is there soul in things which have sense, when they have sense? Or have .. 2016. 9. 16.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