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158 플라톤 - 필레보스 [Plato - Philebus] *In the Philebus wisdom and pleasure are analyzed and contrasted again and again, always with the conclusion that the things of the mind are superior to all the enjoyments of the senses. Some pleasures are innocent and can have a part in the good life, but mind is a thousand times nearer and more akin to the excellent than any or all pleasures. (1086)*All things, so it ran, that are said to be c.. 2016. 9. 17. 플라톤 - 파르메니데스 [Plato - Parmenides] *Parmenides *if the one is one in every sense, the one cannot stand to the things that are 'not one' either as whole to parts or as part to whole, nor again can the things which as whole to parts or as part to whole, nor again can the things which are 'not one' be parts of the one or wholes of which the one is part. (939) ?*The words 'is not' mean simply the absence of being from anything that w.. 2016. 9. 17. 플라톤 - 정치가 [Plato - Statesman] *Statesman(정치가) *나눔에서 부분들은 형상이어야만 하며, 한가운데로 나누는 것이 한층 더 이데아에 접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다.말하자면 동물을 인간과 짐승으로 나눈 것은 사람을 헬라스인과 이방인으로 나누는 헬라스인들의 인습적인 잘못과 같다. 헬라스인과 이방인의 나눔이 잘못된 까닭은 “이방인‘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불리는 ”무한한“ ”모든 다른 종족들“을 헬라스인과 대비시키기 때문이라. (55-6)*플라톤은 신화 이전의 나눔에서 ‘한가운데로’ 나누는 양적인 나눔이 실재의 구조를 반영치 않은 자의적 나눔으로서 바른 정의에 이를 수 없다는 것과, 특히 이런 그릇된 나눔의 절차와 거기서 나온 엉뚱한 결과들을 통해 나눔의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주의를 주는 방법적 훈련의 예를 보여준 것 같다. (60).. 2016. 9. 17. 플라톤 - 소피스테스 [Plato - Sophist] 소피스테스 [소피스테스]는 [테아에테토스]와 함께 인식론의 문제를 고찰하고 있는 글인데, [테아에테토스]에서는 ‘형상 이론’을 도입하지 않은 데 반해서, 이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형상 이론을 도입하여, 인식의 문제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소피스트’라는 존재가 의미하는 바도 밝히고 있다.이 글에서 고찰되고 있는 명제는 파르메니데스의 Never shall this be proved--that things that are not are; but do thou, in thy inquiry, hold back thy thought from this way. (200)말이다. 콘포드는 플라톤이 파르메니데스의 이 말이 적용되지 않는 부분을 밝혀내고 있다는 걸 보여주며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Parmenides f.. 2016. 9. 16.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