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소설65

임철우 - 봄날 임철우 - 봄날 (100205) 이 책에 대한 감상문을 쓰기 전에 나는 먼저 왜 내가 ‘광주민주화운동’(이하 광민운으로 약칭)에 때늦게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을 모아본다. 그 이유는 단순히 말해보자면, 그 비극적인 사건이 내가 살고 있던 곳은 아니었지만 우리나라의 한 도시에.. 2016. 4. 18.
신라 여인 - 김별아 [미실] <신라 여인, 미실> 예전에 잠시 사귀었던 어떤 여자는 만날 때 마다 “천 년 전의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요?”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내뱉고는 했다. 그녀의 말은 과거에 살던 사람들이 현재의 우리와 얼마나 다를까, 아니 뒤집어 표현하자면 얼마나 같을까 하는 궁금증을 표현한 .. 2016. 3. 18.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 -- 이해조의 [홍도화, 상]을 읽고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이해조의『홍도화, 상을 읽고 필자는 외국 문학을 전공하고 있으나,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도 적지 않아 우리 소설이나 시를 나름대로 꽤 많이 읽었다고 자부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문학의 경우 시는 최남선을 기점으로, 또 소설은 이광수를 경계로 하여 그 이전 .. 2016. 3. 18.
가족과 친구와 그리고 광주 - 공선옥의 [내가 가장 예뻤을 때] 가족과 친구와 그리고 광주 -공선옥의 <내가 가장 예뻤을 때>를 읽고 언제부터인가 우리 소설을 읽는다는 것이 재미가 없어졌다. 고만고만한 이야기를 고만고만한 방식으로 풀어나간다는 생각. 그러다가 이미 헤어진 옛 애인의 집을 찾아가듯 가끔씩 소설을 한두 편 다시 읽어보면, .. 2016.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