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존 밀턴과 그의 시대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 / 청교도 혁명 Puritan Revolt (1641- 1660)/ Paradise Lost (1667)
존 밀턴이 셰익스피어 다음 가는 영국 시인이라는 점에 대체로 동의한다. 존 밀턴은 런던에서 태어났고 Cambridge에 있는 Christ's College에서 교육 받았다.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 그는 Buckinghamshire의 Horton에서 5년 동안(1632~7) 공부했는데 직업을 준비하는 대신에 공부를 할 수 있게 허락해 준 그의 아버지께 감사했다. 그는 자신이 완수해야 할 위대한 목적이 있다고 믿으면서 순수한 삶을 살았다. 대학에서 그는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The Lady of Christ's(크리스트 대학의 귀부인)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의 작품들은 세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편리하다. 젊은 시절 그는 Horton에서 공부하면서 단시들을 썼고, 두 번째 시기에는 산문을 주로 썼으며, 마지막 시기에는 위대한 세 편의 시를 썼다.
(Latin Secretary : 홍보 활동) 51년도 눈이 멈. // 기독교관 - 3위 일체설 부인/ free will
[시]
⦁ 두 개의 Sonnet
1) "How Soon Hath Time"(1632?, 1645) : 그가 23살이 되었지만 이룬 게 거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시
2) "When I Consider How My Light Is Spent"(1652?, 1673) : 그가 자신의 눈이 먼 것에 대해 쓴 시
When I consider how my light is spent,
Ere half my days, in this dark world and wide,
And that one Talent which is death to hide 달란트
Lodged with me useless, though my Soul more bent
To serve therewith my Maker, and present
My true account, lest he returning chide; 능력, 잠재력
“Doth God exact day-labour, light denied?” Does
I fondly ask. But patience, to prevent
That murmur, soon replies, “God doth not need
Either man’s work or his own gifts; who best
Bear his mild yoke, they serve him best. His state
Is Kingly. Thousands at his bidding speed
And post o’er Land and Ocean without rest:
They also serve who only stand and wait.”
⦁ L'Allegro(the happy man)와 Ⅱ Penseroso(the thoughtful man) (1632)
첫 번째 시에서는 봄의 전원생활에서의 즐거움을 묘사하고 있다. 아침에는 들판에서, 그리고 저녁에는 집에서 음악과 책을 즐기는 것을 묘사했다. 두 번째 시는 가을을 배경으로 하여, 낮 동안에는 공부를 하고 저녁에는 큰 교회에 가서 웅장하고 멋진 음악을 듣는다.
⦁ Comus (1634) & Arcades (1633)
그는 Horton에서 가면극 Comus와 Arcades의 일부분을 썼다. 이 가면극의 음악은 찰스 1세의 궁정 음악가인 Henry Lawes가 썼다.
⦁ Lycidas (1637)
Lycidas는 Cambridge 대학에서 자신과 함께 공부한 Edward King의 익사를 주제로 한 슬프고 전원적인 시이다. 이 시의 어느 한 부분에서 몇몇 사람들은 열심히 공부를 하는 것이 쓸모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명성에 대한 열망이 영혼을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고 시인은 주장한다.
[산문]
존 밀턴의 산문작품은 주로 교회의 일, 이혼, 자유와 관련되어있다. 그의 작품들 중 다수는 격렬한 언어를 쓰며, 현대 독자들이 볼 때 문학적 가치도 흥미도 별로 없다. 종교에 대한 논쟁은 무시해도 좋을 듯하다.
⦁Areopagitica, A Speech for the Liberty of Unlicensed Printing(1644)
그의 최고의 산문작품. 잘 쓴 글이고, 다른 팸플릿에 빈번히 등장하는 격렬한 언어는 거의 없다. 차분한 추론과 부드러운 말은 조화를 이루고 있고 문체는 아주 간결하다. 언론의 자유가 갖는 중요성에 대한 밀턴의 진지한 믿음이 정직한 느낌으로 책을 채우고 있다.
⦁Paradise Lost (1667)
Charles I세와 의회 사이에 발생한 영국의 내전은 1642년에 시작되어 1646년까지 지속되었다. 두 번째 내전은 1648-51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 밀턴은 열심히 팸플릿을 썼고, 크롬웰을 지지했으며, 그리고 그는 정부의 행정관이 되었다. 이 때 그는 시력을 잃어가고 있었는데, 1651년에는 완전히 시력을 잃었다. Charles II세가 왕이 되었을 때 그는 인기가 떨어졌으나, 이 시기 이후에 그는 위대한 세 작품을 썼다.
그는 그의 위대한 작품에 대해 여러 가지 주제를 고려했다. 그리고 한 때는 아서 왕에 대해 쓰기를 원했지만 마침내 그는 ‘천사들의 타락, 아담과 이브의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지키지 못한 것’ 등을 그 주제로 선택했다. 이것이 열 권의 책으로 계획되었으나, 실제로는 열두 권으로 구성된 위대한 서사시 Paradise Lost(?실낙원?)이다. (초판 - 10권 / 개정판 - 12권)그 배경은 천국과 지옥을 포함한 전체 우주이다. (사탄 - 구원을 받지 못하는 존재) 밀턴의 장려한(splendid) 목소리는 이 작품에서 위대한 무운시 가운데에서 최고의 솜씨를 발휘하는데, 그것은 그의 광범위한 학식에 의해 강화되고 일급 시인의 온갖 기교로 장식되었다. 서사시.
이 작품에는 수백 가지의 뛰어난 생각들이 음악적인 운율 속에 옮겨져 있으며, 말로처럼 밀턴도 고유 명사의 아름다움을 이해했다.
⦁Paradise Regained (1671) 복낙원
Paradise Regained는 Paradise Lost보다 덜 화려하지만 더 엄격하다. 그러나 이 작품도 때때로 고유명사의 사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것들은 그것들이 친숙한 독자에게는 풍부한 이미지를 불러오며, 이 행들을 소리 내어 읽을 때 그 소리에 힘과 아름다움을 더해준다.
⦁Samson Agonistes (1671) 투사 삼손
그리스 작품을 모델로 한 이 비극은 눈이 먼 채 Gaza에서 팔레스타인의 포로로 잡혀있던 투사 삼손의 최후의 날을 묘사하고 있다. 그는 팔레스타인(이교도) 귀족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해 잔치 장소로 가야만 했다. 그러나 후에 사자가 와서 삼손이 극장의 돌기둥을 무너뜨려 그들을 죽이고 자신도 죽었다는 소식을 전한다. 밀턴이 이 작품을 쓸 무렵에는 20년째 눈이 먼 채로 살고 있었고 약 3년 후에 죽었다. 삼손의 슬픔은 의심의 여지없이 그에게 자신의 슬픔을 상기시켰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 작품의 행들의 일부는 아마도 밀턴의 개인적인 감정을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할 것이다. [Closet Drama - Lesedrama] Poetic Drama 시극
[서정시인들]
존 밀턴이 문학사를 지배하던 이 시기에 몇몇 서정시인들이 달콤한 시들을 남겼다.
※ Richard Lovelace(1617~1657) 왕당파/ 기사파
⦁To Althea, from Prison ('Stone walls do not a prison make, Nor iron bars a cage')
⦁To Lucasta, on Going to the Wars - 이 시는 'I could not love thee, much, Loved I not honour more'라는 유명한 어구를 남겼다.
※ Sir John Suckling(1609~1642)
당시 궁정에서 유명한 재사였다. 그는 가볍고 종종 부주의한 시인이었다.
※ Robert Herrick(1591~1674)
그 당시 살았던 서정시인들 가운데 최고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영국의 시골과 그곳의 꽃들에 관해 시를 잘 썼다. 그의 사랑노래 또한 달콤했다.
※ Edmund Waller(1606~1687)
영웅시체 이행연구를 가장 먼저 쓴 시인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그 보다도 훨씬 전에 이미 셰익스피어 등의 시인들이 이 형식으로 작품을 씀. 이 시 형식은 다음 백오십 년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
⦁His Majesty's Escape(1635)
※ Sir John Denham(1614~1669)
⦁Cooper's Hill(1642) - 영국 시골 풍경을 묘사한 시로 Denham의 다양한 주제에 관한 생각들이 나타나있다.
[산문]
※ John Earle(1601~1665)
⦁Microcosmographie(1628) - 평범한 사람들의 성격 연구를 제공한 책이다. 이 작품이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종류의 성격 묘사가 아직 발생하지 않은 소설 장르에서 성격에 대한 글쓰기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novel
※ Sir Thomas Browne(1605~1682)
⦁ Religio Medici(1642) 의사의 종교 - 그는 의사이자 작가로 어렵고, 학식 있고 세련된 문체로 다양한 주제에 하여 글을 썼다. 이 책은 종교적인 책이지만 또 다른 주제에 관한 의견도 포함하고 있다.
⦁Vulgar Errors
그의 가장 긴 작품으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의 잘못된 믿음에 대한 연구서이다. (예를 들면 코끼리 다리는 관절이 없다.)
※ Izzak Walton(1593~1683)
이 시대에는 흥미로운 일대기 작품이 많이 발표되었다. Izzak Walton이 그의 시인 친구인 John Donne의 일생을 쓴 작품은 그 좋은 예이다. 이 작품은 훌륭한 산문이고 그 당시 역사적 자료의 원천으로도 흥미롭다.
⦁Compleat Angler(1653) - Izaak Walton의 작품 중 여전히 널리 읽혀지고 사랑받는 작품인데, 강 낚시의 기술에 대한 이야기이다. 애정 어린 강가의 경치 묘사를 담고 있으며, 낚시 이야기를 중단하고 시와 노래가 나오는가 하면, 물고기를 준비해서 요리하는 것에 관한 충고를 담고 있는 책이다.
-1642년 극장이 폐쇄되어 1660년까지는 중요한 극이 나오지 않았다.
------
[시대 개괄 IV]
4. 신고전주의(1660-1798)
1660년 : 찰스 2세, 영국의 왕위에 복귀 1688년-89년 : 명예혁명. 제임스 2세가 폐위되고, 오렌지 공 윌리엄 3세 와 메리2세가 왕위에 오름. 1714년 : 조지 1세가 즉위하여 하노버 가의 통치 시작 1765년 : 제임스 와트 증기 기관 발명. 산업 혁명 1789년 : 프랑스 혁명 시작 |
<주요사건>
가. 시대 배경
-왕정복고 : 영국 국교회의 승리
-명예혁명(Glorious Revolution) : 입헌군주국. 의회민주정치와 근대시민사회의 기틀을 만듬.
-계몽주의 (Enlightenment): 이성의 시대 (존 로크 / 조지 버클리 / 데이비드 흄 // 아이작 뉴턴)
-감성의 시대 : ‘감성적인 마음’(feeling heart)에 중요성을 둠 (18세기 후반)
-신흥계층의 등장과 이에 따른 보다 유동적인 계층간의 관계. 중산층이 성장하면서 두터운 독자층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대중 출판문화와 소설과 같은 새로운 장르가 태동. (coffeehouse/ 신문, 잡지/ novel)
-왕정복고기(1660-1700) / 아우구스투스의 시대(Augustan Age, 1700-1740) / 18세기 후반(1745-1798)
문예부흥기
나.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고전주의 --- 낭만주의 / 이성
신고전주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고대작가들을 숭상하는 것이다. 신고전주의의 작가들은 고대문학의 양식을 모방하려고 했을 뿐만 아니라 작품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고대인들의 지혜와 윤리, 그리고 그들의 사상을 계승하려고 했다. 따라서 신고전주의 문학은 전통을 중시했으며, 고대인들이 지향했던 조화와 질서, 균형과 절제, 그리고 간결함 등에서 오는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적정률 : decorum)
-신고전주의 문학이론은 문학의 본질을 ‘자연을 모방’(imitation of nature)하는 행위로 규정했다. 자연이라 함은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여 인간 모두에게 해당되는 공통적 사고, 감정, 취향, 경험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곧 보편성을 지닌 인간의 본성을 뜻한다. nature 자연/ 본질
-John Dryden(17세기 후반)--Alexander Pope, Jonathan Swift, Samuel Johnson(18세기)
-영웅시체 이행연구(Heroic Couplet)의 애용 : 이 시행은 하나의 문장이나 스탠자와 같이 일관된 의미를 지니면서 형식과 의미가 서로 일치하는 완결성을 갖추었으며 매우 규칙적인 느낌을 줌. (약점 - 단조로움)
-문학의 교훈적 성격 강조. 풍자 발달.
------
Philip Sidney - Ben Jonson - John Dryden
제6장 왕정복고시대의 드라마와 산문
[시대적 배경]
- 찰스 2세가 1660년 왕위에 오른 뒤 영국문학에 있어서의 변화는 청교도의 공화정에서 왕정으로의 복귀라는 변화만큼이나 컸다. 극에 있어서는 극장이 다시 문을 열었고, 새로운 극작가들이 등장하였다.
* The Theatre of the Restoration Period
Drury Lane Theatre
1. 여배우들이 무대에 섬(미소년)
2. 극장 형태 - 타원형. 지붕
3. 무대 장치, 조명 이용
4. 극장이 주로 귀족, 상류층의 사교장
영웅 비극 (Heroic Tragedy/ Heroic Play)
풍속 희극 (Comedy of Manners) 기질 희극(Comedy of Manners)
[영웅비극]
※ John Dryden(존 드라이든 1631~1700) Oscar Wilde / Edmund Spenser / 계관 시인
찰스 2세가 1660년 왕위에 오른 뒤 영국문학에 큰 변화가 생기면서 theatre가 다시 문을 열고 새로운 극작가들이 등장하였는데 그 중 한명이 존 드라이든이다. 존 드라이든이 있던 시대의 비극은 주로 ‘영웅비극’(영웅극)이었으며, 주로 남자주인공은 탁월하게 용감하고 여자주인공은 매우 아름다웠다. 소리를 지르는 장면이나 말이 안 되는 장면이 많이 등장했다. 이 극들은 존 드라이든이 완성시킨 보격인 영웅시체 이행연구(Heroic Couplet) 형식으로 씌었다.
- The Conquest of Granada(1670)
드라이든의 대표적인 영웅비극 중의 하나. 약강 오보격의 작품. 이 극에는 흔히 볼 수 있는 과장된 언어와 함께 좋은 서정시들을 담고 있다. (공적인 의무/ 사적인 감정)
- Aurengzebe(1676) 무굴
인도에서 제국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하던 것을 바탕으로 쓴 작품. 이 극은 그의 각운 작품 중 마지막이며, 그가 여태껏 쓴 것 중 최고로 멋진 대사 중 하나를 담고 있다.
-대부분의 드라이든의 극에는 멋진 대사와 보잘 것 없는 대사가 놀라울 정도로 번갈아 가며 나온다.
- All for Love (or The World Well Lost) (1678)
그의 잘 알려진 극으로 무운시 형식으로 되어있다. 셰익스피어의 Antony and Cleopatra 에 기반을 둔 작품이다. 그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개선시키려 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되지만, 이 당시에는 Antony and Cleopatra가 그렇게 높이 평가되지 않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몇몇 비평가들은 이것을 그의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지만, 다른 비평가들은 Don Sebastian(1691)을 선호하기도 한다.
-Don Sebastian (1691)
궁극적으로는 포르투갈의 왕 Sebastian이 전쟁에서 죽지 않았다는 가정에 기초한 작품.
([희극]
-Marriage-à-la-Mode (1672)
1672년도에 나온 조악한 무운시 형식의 드라이든의 첫 번째 희극.
[산문]
-Essay on Dramatic Poesie (1668) 비평문 / 영국 비평의 아버지
이 비평문에서 드라이든은 고전 그리스 * 로마의 극작과 영국과 프랑스 드라마를 비교한 다음, 드라마에서의 각운을 옹호하고 셰익스피어를 칭찬하였다. (I admire Ben Jonson, but I love Shakespeare) 그는 다른 누구보다도 영어를 쓰는 명확하고,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방식을 제시하였다. 거기에 덧붙여 그는 대부분의 시인들보다 더 나은 비평가였으며, 이 글에서는 프랑스 작가들이 시간과 장소의 일치를 지키는 가운데 정해놓은 한계 등을 언급하고 있다.)
※ Thomas Otway (토마스 오트웨이 1652-1685) 무대공포증/
프랑스 극작가 Racine과 Moliere의 극을 바탕으로 작품을 쓰기도 했음. 공연 횟수도 셰익스피어의 작품 다음으로 많으며,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그는 매우 젊은 나이인 서른세 살에 아주 가난한 상태로 세상을 떠났다.
- 그의 대표적인 세 비극 작품,
1. Don Carlos (1676) 각운시
2. The Orphan (1680) 무운시
3. Venice Preserved(1682) 무운시
- Venice Preserved (1682) : 그의 대표적인 비극 작품.
줄거리는 베니스에 사는 젊은 귀족 Jaffier가 귀족 Priuli의 딸인 Belvidera와 결혼하고, 그 후 그가 Priuli에게 돈을 요구했다가 모욕을 당한 후 베니스 정부를 전복시키려는 음모에 가담하였고 두려움을 느낀 아내는 그에게 Priuli에게 그것에 대해 말하라고 설득한다. 하지만 결국 그의 아내는 죽고, 그 스스로도 목숨을 끊음으로써 파멸한다는 내용으로, 관객의 감정을 사로잡는 걸작이다.
[풍속 희극] 남자 - 방탕한 인물(rake) / 여자 - 내숭을 떠는 인물(coquette)
※ Sir George Etherege (조지 에서리지 1635-1692)
이 세기의 말엽에는 Sir George Etherege에 의해 풍속 희극(Comedy of Manners)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희극이 등장하였는데, 어렵지만 밝고, 재치 있지만 무자비한 것이 특징이다.
- The Man of Mode (1676)
이 작품은 적절한 플롯 없이 당시 사회의 비도덕적인 풍속을 그려내었다.
※ William Wycherley(윌리엄 위철리 1640-1716)
풍자극을 다뤘던 극작가. (저속한 언어)
(1)The Country Wife (1675) 몇몇 멋진 위트가 돋보이는 상스러운(coarse) 극.
(2)The Plain Dealer (1676) 아마도 Moliere의 작품 Le Misanthrope를 모델로 한 극으로 그의 최고의 작품.
※ William Congreve (윌리엄 콩그리브 1670-1729)
이 세기가 끝날 무렵 콩그리브가 작품을 쓸 때에는 초기 왕정복고시대의 조악한 작품들이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보다 합리적인 18세기가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1)The Old Bachelor (1693)
그의 처녀작 ?늙은 독신자?는 여자를 싫어한다고 공언하던 늙은 독신자가 별안간 사랑을 하더니 여자로부터 계속 꼴사나운 속임수만 당한다는 이야기로, 유쾌한 인물의 주인공은 극중 멍청한 기사인 Sir Joseph Wittol 이다.
(2)The Double Dealer (1694) : 성난 연인들에 관한 작품
(3)Love for Love (1695) : 더 재밌는 작품. 명석한 대사와 흥미롭지만 어리석은 인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4)The Way of the World (1700)
- 그의 작품들은 Etherege가 사용했던 세련된 스타일을 따르고 있는데, 이 작품은 그 시대의 다른 어떤 작품들보다 훌륭하다. 이 작품은 특히 여자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잘 묘사했고, 극의 산문도 뛰어났다. 그렇지만 불행하게도 흥행에서는 실패하였다. 이 때문에 극에 혐오감을 느낀 그는 그 후에는 극작을 단념하고,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보냈다.
※ Sir John Vanbrugh (존 벤브루 1664-1726)
그 역시 Congreve의 희극 정신을 어느 정도 살리고 있는 성공적인 희극 작가로 꼽힘. 그의 등장인물들은 독특하고, 플롯은 흥미로우나, 글 자체는 그다지 두드러지는 면이 없었다.
그의 성공적인 세 작품
- The Relapse (1696)
- The Provoked Wife (1697)
- The Confederacy (1705)
*풍속 희극의 특징
이 극들은 일반적으로 상스럽고, 재치 있고, 영리하면서도 부분적으로 그 시대의 상류 계급 사회의 품행들을 반영하였다.
- 그러나 그 시대의 모든 사람들이 그 작품들에 나오는 사람들 같진 않았다. 많은 사람들은 Milton의 Paradise Lost를 읽었는데, 그 어떤 것도 이 작품만큼 왕정복고시대의 희극과 다를 수는 없었다. 또 다른 이들은 John Bunyan의 기독교인들이 세상의 악들을 지나 천국으로 가는 여행을 그린 알레고리 작품인 Pilgrim’s Progress(1678)를 읽었다.
※ Oliver Goldsmith (올리버 골드스미스 1728-1774)
- She Stoops to Conquer(1773) 가정집을 호텔로 착각하여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을 다룬 작품이다.
※ Richard Brinsley Sheridan (리처드 셰리든 1751-1816)
- The Rivals (1775) 등장인물 중 한 명인 Mrs. Malaprop이 긴 단어들을 마구 뒤섞어 말을 함으로써, 별다른 의미는 없지만 우스운 장면을 연출한다.
- The School for Scandal (1777) 이 작품에는 스캔들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세 명의 등장인물이 나온다. 그들은 ‘대사 하나 하나에서 인물의 급소를 찌른다.’
- The Critic (1779) Bukingham이 쓴 The Rehearsal과 같은 풍자극으로, 드라마와 비평을 풍자한다. 이 극 내에는 등장인물 중 한 명이 쓴 어리석은 극이 있는데, 그는 두 명의 비평가와 함께 그것의 수준에 대해 토론을 한다. 그 장면이 관객에게 큰 웃음을 준다.
[산문]
※ John Dryden
2페이지 참조.
※ John Bunyan (존 번연 1628-1688)
간결하고 깔끔한 표현력과 알레고리가 드러남.
Authorize Version 성경을 읽고 영향을 받은 문체를 사용한다.
그의 산문 작품인 The Pilgrim’s Progress와 The Holy War (1682)에서 명확한 예시와 간단한 표현법을 구사하였다.
- The Holy War (1682) 청교도 혁명 당시 의회파의 군인으로 싸운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
- The Pilgrim’s Progress
2부로 구성(1부-1678, 2부-1684). 구원의 길을 가는 영혼의 역정을 그린 알레고리. 크리스찬(Christian)이라는 전형적이고 알레고리적 이름을 가진 주인공이 ‘파멸의 도시’(City of Destruction)를 떠나서 ‘천상의 도시’(Celestial City)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 꿈과 알레고리라는 형식은 중세 영문학에서 전성기를 누렸던 것인데, 번연은 이 방식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소박함과 리얼리즘을 추구.
[보충 자료]
A. John Bunyan - Pilgrim's Progress
from This World to That Which is to Come
As I walked through the wilderness of this world, I lighted on a certain place where was a Den, and I laid me down in that place to sleep: and, as I slept, I dreamed a dream. I dreamed, and behold, I saw a man clothed with rags, standing in a certain place, with his face from his own house, a book in his hand, and a great burden upon his back. I looked, and saw him open the book, and read therein; and, as he read, he wept, and trembled; and, not being able longer to contain, he brake out with a lamentable cry, saying, What shall I do?
In this plight, therefore, he went home and refrained himself as long as he could, that his wife and children should not perceive his distress; but he could not be silent long, because that his trouble increased. Wherefore at length he brake his mind to his wife and children; and thus he began to talk to them: O my dear wife, said he, and you the children of my bowels, I, your dear friend, am in myself undone by reason of a burden that lieth hard upon me; moreover, I am for certain informed that this our city will be burned with fire from heaven; in which fearful overthrow, both myself, with thee my wife, and you my sweet babes, shall miserably come to ruin, except (the which yet I see not) some way of escape can be found, whereby we may be delivered. At this his relations were sore amazed; not for that they believed that what he had said to them was true, but because they thought that some frenzy distemper had got into his head; therefore, it drawing towards night, and they hoping that sleep might settle his brains, with all haste they got him to bed. But the night was as troublesome to him as the day; wherefore, instead of sleeping, he spent it in sighs and tears. So, when the morning was come, they would know how he did. He told them, Worse and worse: he also set to talking to them again; but they began to be hardened. They also thought to drive away his distemper by harsh and surly carriages to him; sometimes they would deride, sometimes they would chide, and sometimes they would quite neglect him. Wherefore he began to retire himself to his chamber, to pray for and pity them, and also to condole his own misery; he would also walk solitarily in the fields, sometimes reading, and sometimes praying: and thus for some days he spent his time.
※ John Locke (존 로크 1632-1704)
로크의 산문 또한 명료하고, 진실 되며, 과도한 장식이 없으나, 그의 문장에는 번연의 문체에 매력을 더해주는 균형감이 부족하다.
-Essay on the Human Understanding (1690)
영국철학사에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힌다.
※ Samuel Pepys (사무엘 피프스 1633-1703)
1660년 1월 1일부터 1669년 5월 31일까지의 Diary(9권)에는 왕정복고 때의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당시의 풍속을 연구하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책은 암호 · 속기문 등으로 되어 있어 1825년에야 H. B. 휘틀리에 의해 해독되어 간행되었다. 이 글에 드러나는 Pepys는 아주 매력적인 인물로, 당시 많은 사건들과 삶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 흥미롭고 중요한 글이다.
※John Evelyn(존 이블린 1629-1706)
그의 사후 1세기가 지난 다음에 간행된 Diary는, 1637∼1706년에 쓴 것으로 유럽을 여행하면서 쓴 글이다. 이블린은 예술과 나무에 관한 몇 권의 책도 썼다.
[퀴즈]
1. 밀턴의 산문 중 언론의 자유를 옹호한 글의 제목은?
2. 밀턴의 마지막 시기 대표작 3편을 쓰시오.
3. 신고전주의 시기는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
4. Neoclassicism 시기를 3 시기로 세분화하면?
5. 신고전주의의 특징을 쓰시오.
[이상입니다]
'독학사 영국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문학 열한 번째 수업 (1030) (0) | 2020.10.29 |
---|---|
영국문학 열 번째 수업 (1023) (0) | 2020.10.22 |
영국문학개관 일곱 번째 수업(0929) (0) | 2020.09.28 |
영국문학개관 여섯 번째 수업(0925) (0) | 2020.09.24 |
영국문학개관 다섯 번 째 수업(0918)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