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시 및 감상

진이정,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세계사 [2000년]

by 길철현 2016. 12. 1.

진이정,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세계사


진이정의 시를 어떻게 평해야할 지 좀 난감하다. 몇 편의 시들은 일상적인 시의 잣대로 평가할 수도 있고 독해도 어렵지 않다. 첫 시인 <시인>은 이런 류의 시의 대표적인 예로 투명한 느낌마저 든다.

 

시인이여,

토시 하나

찾아 천지를 돈다

 

시인이 먹는 밥, 비웃지 마라

 

병이 나으면

시인도 사라지리라

 

토씨 하나/ 찾아 천지를돈다는 것은 언어를 다루는 것이 임무인 시인에게 우리가 대표적으로 할 수 있는 말이다. 따라서 시인이 먹는 밥은 꼭히 헛된 밥이 아니므로, ‘비웃지말아라. 그리고 병이 다 나으면 의사가 필요 없듯이, 존재의 고난이 사라지면 시인도 그 임무를 다하게 된다. 정도로 해석해 볼 수 있으리라. <이발소 집 아이>라는 시도 쉽게 와닿는다. 하지만, 시집 후반부에 실린 그의 시들은 해석을 할 수 없게 시상들이 혼란스럽게 마구 뒤섞여 있다. 앞의 행과 뒤의 행은 논리적인 연관이 지속되지 않는다.

 

무엇이 착함이고 무엇이 악함인가

어디선가 닭 우는 소리가 들려

나는 천수경을 외었다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게 해주소서

훈제 통닭의 일생이여

나는 영원히 사람이다 바퀴벌레조차도

자신을 사람으로 의식한다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1> 중에서

 

거의 자동 기술적인 이러한 시행들에서 논리적인 설명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노릇이다. 그리고, 그의 이러한 기법이 어떤 성공을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든다. 그렇지만 그의 뜻모를 중얼거림 같은 시행들에서 우리는 간간히 아름다운 말을 찾아 거기에 취하기도 한다. 뜻모를 외국어 노래 중에 몇 마디 들려오는 아름다운 말이라고 비유해 볼 수 있을까? 그것이 아니라면 말은 모르지만 아름다운 노래를 듣는 느낌, 그런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가지 알 수 있는 것은 그의 많은 시들이 죽음을 앞두고 떠오른 영상들이라, 모두 죽음이라는 주제와 직간접으로 연관을 맺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진이정의 시를 재미있게 읽었다. 그와 유하의 시에서 나는 공감대를 느낀다. 그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손끝에서 만질 수 있을 듯도 하다. 진이정의 시어에서 내 빈약한 언어를 살찌우는 방법을 어렴풋이나마 맛보았다는 것이 보람이라면 보람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