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이야기/산행기, 사찰, 사당, 문학관65

월류봉 네 번째[충북 영동군 황간면 원촌리, 마산리](20221009) [탐방기] 여동생, 어머니와 함께 이곳을 다시 찾았다. 월류봉 광장 주변을 좀 걸으며 월류봉의 절경을 감상할 생각이었으나 가을비가 부슬부슬 내리고 기온도 뚝 떨어져 어머니는 차에서 내리지도 못했다. 월류정이 잘 보이는 곳으로 가 사진만 몇 장 찍고 떠났다. 2022. 10. 10.
송강정[전남 담양군 고서면 송강정로 232](20220929-4) [소개]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 있는 정자. 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환벽당, 식영정과 함께 정송강유적이라고 불린다. 서인에 속했던 정철은 1584년(선조 17) 대사헌이 되었으나,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동인의 탄핵을 받아 다음해에 대사헌직에서 물러났다. 그후 이곳 창평(昌平)으로 돌아와 4년 동안 조용히 은거생활을 했다. 여기에서 초막을 짓고 살았는데 당시에는 이 초막을 죽록정(竹綠亭)이라 불렀다 한다. 지금의 정자는 1770년에 후손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그때 이름을 송강정이라 하였다. 정철은 이곳에 머물면서 식영정(息影亭)을 왕래하며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비롯하여 많은 시가와 가사(歌辭)를 지었다. 《송강별집》 권7 〈기옹소록〉에 따르면, 《사미.. 2022. 10. 6.
국립 518 민주묘지[광주 북구 민주로 200](20220929-2) [소개] 1997년 5월 16일 완공하였으며 5·18 영령의 묘 832기가 있다. 1980년 정권을 장악하려는 군부에 반대하여 일어난 시민저항운동으로 당시 희생된 사람들의 넋을 기리는 곳이다. 묘역의 시설로는 민주의 문, 유영봉안소, 역사의 문, 숭모루, 추념문 등과 역사공간, 민주광장, 참배광장, 전시공간, 상징조형물, 광주민주화운동추모탑이 있다. 5·18추모관에는 민주화를 위해 희생한 민주영령들을 추모하는 곳이자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당시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묘역을 상징하는 5·18민중항쟁기념탑은 높이가 약 40m이며 전통석조물인 당간지주를 현대적으로 형상화해 설계되었다. (두산백과) [탐방기] 한 십 년 전쯤에 한 번 들렀는데 광주에 온 김에 한 번 더 들렀다. 묘역과 추.. 2022. 10. 5.
환벽당[광주 북구 환벽당길 10], 취가정[42-2](20220928-9) [탐방기] 날이 저물어 가는 가운데 환벽당과 취가정, 광주호를 모두 둘러보아야 해서 좀 급하게 둘러보았다. 식영정을 비롯하여 이 근처의 정자들은 돌계단을 올라가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역사적인 의미 외에 특별히 나의 시선을 사로 잡는 것은 없었다. 1. 환벽당 2. 쉬가정 2022.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