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169 플라톤 - 메넥세노스 [Plato - Menexnus] <Menexenus> 이 대화편은 어떤 철학적 주제를 논구하는 것이 아니라, 소크라테스가 Aspasia로부터 들은 장례식 연설문의 내용을 Menexenus에게 전달해주는 그런 것인데, 그 내용은 아테네의 역사에 대한 찬양이다. 이 대화편은 위작 여부가 의심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내용 전개를 보아서도 .. 2016. 9. 16. 플라톤 - 국가 * 정체 [Plato - Republic] <Republic>(국가*정체) 박종현 역주(서광사). B. Jowett, Modern Lib. [정리] [국가]는 플라톤의 저작 중에서 분량면에서도 [법률]을 제외하고는 제일 길 뿐만 아니라, 중심 주제인 ‘올바른 상태(올바름)’를 풀어나가는 방식이나, 그 내용의 짜임새에 있어서도 단연 돋보이는 글이다. 그러니까, .. 2016. 9. 16. 플라톤 - 크라튈로스 [Plato - Cratylus] *플라톤, 크라튈로스, 김인곤, 이기백, EJB. (130329) [언어의 문제가 내가 집중적으로 연구해 보아야 할 것 중의 하나라는 점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내 언어관을 밝힐 필요가 있을 듯하다. 나는 언어라는 것을 ‘인간사이의 규약’이라고 보고 있으며, 다만 특정 낱말이나 언어 문.. 2016. 9. 16. 플라톤 - 라케스 [Plato - Laches] *Laches *. . . anyone who is close to Socrates and enters into conversation with him is liable to be drawn into an argument, and whatever subject he may start, he will be continually carried round and round by him, until at last he finds that he has to give an account both of his present and past life, and when he is once entangled, Socrates will not let him go until he has com.. 2016. 9. 16.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