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169 플라톤 - 프로타고라스 [Plato - Protagoras] #Protagoras(011206) <정리> 당시 최고의 소피스트였던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와의 지혜의 대결(?)을 다룬 글. 그리스 사람들의 지적 욕구의 강렬함을 엿볼 수 있는 글이다. ‘Virtue'의 의미를 둘러싼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의 의견 대립에서, 다른 글과는 다소 다르게, 프로타고라.. 2016. 9. 16. 플라톤 - 카르미데스 [Plato - Charmides] #Charmides 이 대화편은 소크라테스가 Charmides 및 Critias와 ‘temperance(sophrosyne)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놓고 논쟁을 벌이는 것이다. 그리스 어의 Sophrosyne는 'accepting the bounds which excellence lays down for human nature, restraining impulses to unrestricted freedom, to all excess, obeying the inner laws of harmony and proportion'.. 2016. 9. 16. 플라톤 - 파이돈 [Plato - Phaedo] #Phaedo[파이돈], Hugh Tredennick, tr., Penguin <정리> 이 글은 소크라테스의 최후, 즉 그가 독약을 받은 당일 날 친우 및 제자들과의 토론과, 독약을 마시고 죽어가는 모습을 이 때 그 자리에 있었던 파이돈(Phaedo)이 에케크라테스(Echecrates)에게 들려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글은 ‘영혼의 .. 2016. 9. 16. 플라톤 - 크리톤 [Plato - Crito] /덧붙이는 말 [덧붙이는 말 : 2001년 정도에 철학을 좀 더 집중적으로 공부해보기 위한 일환으로 플라톤 영역본 전집을 읽기 시작했다. 과외를 하고, 또 탁구를 치고 지친 몸으로 읽어서 제대로 이해도 못하고 글자만 읽은 느낌도 있지만, 그래도 몇 저작은 - 예를 들자면 [국가] - 꼼꼼하게 읽었다. 그 때 .. 2016. 9. 16. 이전 1 ··· 38 39 40 41 42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