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소설65

송하춘 엮음. 소설발견 1. 고대출판부(130120) *송하춘 엮음. 소설발견 1. 고대출판부(130120) 학부 학생들의 작품이라 문장이나 문체가 어색하고 성긴 부분이 있긴 하지만, 잘 된 작품들을 뽑은 것이라, 그 착상이 재미있고, 또 나이에 비해 상당한 솜씨가 엿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솜씨는 이야기꾼으로서 합격점이.. 2016. 12. 17.
이인직, 혈의 누, 귀의 성, 치악산, 서울대/ 은세계, 모란봉, 빈선랑의 일미인, 서울대 (100910) *이인직, 혈의 누, 귀의 성, 치악산, 서울대 은세계, 모란봉, 빈선랑의 일미인, 서울대 (100910) 신소설의 효시라고 흔히 칭해지는 이인직의 작품은 이해조나 최찬식보다, 장면의 묘사나 그 전개에 있어서, 좀 더 치밀해진 느낌은 있다. 그러나, [귀의 성]을 제외한 그의 작품은 모두 미완성인.. 2016. 12. 16.
최찬식, 추월색 [2010년] *최찬식, 추월색 이해조의 작품을 읽으면서도 심히 염려가 되는 부분이었지만, 이 작품은 소설이라는 것이 자칫 세계에 대한 성찰이나 반영에서 벗어나, 일반 독자의 요구에 영합하여 흥미위주로 흐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현실의 엄혹함은 사상하고, 주인공 .. 2016. 12. 16.
안국선, 금수회의록 [2010년] *안국선, 금수회의록 이 작품은 이해조의 <자유종>처럼, 당대의 타락한 인간성을, 담론, 혹은 연설의 형식으로 전개하고 있는 작품인데, 꿈이라는 형식을 차용하고 있긴 하지만, 그 주인공들이 동물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권영민의 지적대로 이 작품은 ‘기독도교적인 인간관과 세계.. 2016.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