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으로158

니콜로 마키아 벨리 - 군주론 (Niccolo Machiavelli - Il Principe, The Prince). 까치. 2016(1532) * 니콜로 마키아 벨리 - 군주론 (Niccolo Machiavelli - Il Principe, The Prince). 까치. 2016 (1532) [철학 책들은 그 명성과 함께 그 난해함으로 우리를 주눅 들게 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양 학문 수용의 역사가 짧고, 그래서 번역이 제대로 되지 않고 중역이거나 오역이 많아서 책 읽기의 .. 2017. 12. 9.
하상복. [푸코 & 하버마스 - 광기의 시대, 소통의 이성]. 김영사. 2009. * 하상복. [푸코 & 하버마스 - 광기의 시대, 소통의 이성]. 김영사. 2009. - 감상 하상복의 이 책은 필자가 프롤로그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근대성'에 대해 상반된 태도를 지닌 두 철학자, 1960년대 근대성의 대논쟁의 중심에 있었던 두 인물 푸코와 하버마스의 사상의 핵심을 포착하고 또 비교.. 2017. 9. 15.
노엄 촘스키 & 미셸 푸코.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이종인 옮김. 시대의 창. 2010. * 노엄 촘스키 & 미셸 푸코.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이종인 옮김. 시대의 창. 2010. (후기) 170918 촘스키의 명성은 익히 알고 있었고 책도 여러 권 사 두었지만, 그를 유명하게 만든 그의 언어 이론, 즉 플라톤의 상기설이나 데카르트의 본유 관념론처럼, 인간은 생득적으로 언.. 2017. 9. 7.
김상환 외 - 니체가 뒤흔든 100년. 민음사. 2000 - 김상환 외 - 니체가 뒤흔든 100년. 민음사. 2000 [단상] 왜 철학을 해야 한다고 목을 매는가? 그것은 세상에 대해 할 말을 가지기 위해서인가? 왜 철학 앞에 번번이 무릎을 꿇는가? 나의 부족한 머리, 부족한 인내심으로는 철학의 고봉을 오르기에 한계를 느끼기 때문이다. 일단 논문을 앞에 .. 2017.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