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시 및 감상409

함민복. 우울氏의 一日, 세계사 (2000년 8월 16일) 우울氏의 一日, 세계사 (2000년 8월 16일) <우울증과 가난> 함민복의 시를 읽으면서 나는 내가 평소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밀고 나가보았다. 즉 세상에는 두 부류의 인간이 있는데 하나는 공격적인 성향의 인간이고, 다른 하나는 수비적인 성향의 인간이다. 그리고 공격적인 성향의 인간.. 2016. 12. 1.
진이정,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세계사 [2000년] 진이정, 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세계사 진이정의 시를 어떻게 평해야할 지 좀 난감하다. 몇 편의 시들은 일상적인 시의 잣대로 평가할 수도 있고 독해도 어렵지 않다. 첫 시인 <시인>은 이런 류의 시의 대표적인 예로 투명한 느낌마저 든다. 시인이여, 토시 하나 찾아 천지를 돈다 시인.. 2016. 12. 1.
정한모, 김재홍 편저, 한국대표시 평설, 문학세계사, 2000년 8월 15일 정한모, 김재홍 편저, 한국대표시 평설, 문학세계사, 2000년 8월 15일 (김용직, 박철희 편, 한국 현대시 작품론, 문장) 거의 4개월의 대장정 끝에 이 두터운 한 권의 책을 끝냈다. 그 와중에 나는 최남선에서부터 박노해에 이르기까지 우리 현대시를 다시 살펴볼 기회를 가졌던 것이다. 새로 접.. 2016. 12. 1.
신현림. [세기말 블루스], 창작과 비평사, 1996. [2000년] [세기말 블루스], 창작과 비평사, 96 <외로운 마약, 외로운 섹스> 신현림의 첫시집과 이 두 번째 시집을 비교해볼 때 우선 눈에 두드러지는 차이는 언어의 사용면이다. 이것은 비슷한 제목의 두 시, <외로움의 마약, 외로움의 섹스>([지루한 세상에 불타는 구두를 던져라]), <외로운.. 2016. 12. 1.